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가사(歌辭)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가사 (歌辭)
조선 초기에 나타나 조선 말기까지 짓고 불렸던 시가의 한 형식. 형식은 3·4조 또는 4·4조의 외형률로 되어 있고, 시조와는 달리 장가형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가사 (歌辭) 가사 문학 내방 가사 유배 가사 기행가사 서인 한국 문학 1371년 1358년 1347년 나옹 박인로 정극인 정철 공민왕 기대승 김인후 백광홍 성혼 송순 윤선도 정세아 정양 조위 홍순학 권필 유희춘 지공 누항사 사미인곡 상춘곡 서왕가 봉선화가 관서별곡 나옹집 나옹화상가송 나옹화상어록 노계집 만분가 불우헌곡 불우헌집 선상탄 성산별곡 속미인곡 송강가사 송강집 연행가 영남가 일동장유가 정과정곡 태평사 화전가 훈민가 계녀가 불우헌가 노계가 임진왜란 양주 회암사지
▣ 백과사전
조선 초기에 나타나 조선 말기까지 짓고 불렸던 시가의 한 형식. 형식은 3·4조 또는 4·4조의 외형률로 되어 있고, 시조와는 달리 장가형이다.
 
가사의 첫 작품으로는, 고려 말기의 스님 나옹이 지은 「서왕가」를 드는 사람도 있고, 조선 성종 때 정극인의 「상춘곡」을 드는 사람도 있다.
 
가사 작품 가운데서 정철의 「관동별곡」 「사미인곡」, 박인로의 「누항사」 등이 특히 두드러진 작품이며, 영남 지방의 부녀자들이 지은 여러 내방 가사 가운데서는 「봉선화가」가 유명하다.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236 작품) [모두보기]
관동별곡 關東別曲 가사 정철 (3373) 농가월령가 農家月令歌 가사 (1481) 관서별곡 關西別曲 가사 백광홍 (1285) 상춘곡 賞春曲 가사 정극인 (1139) 누항사 陋巷詞 가사 박인로 (993) 일동장유가 日東壯遊歌 가사 김인겸 (746) 사미인곡 思美人曲 가사 정철 (710) 낙지가 樂志歌 가사 이이 (552) 규원가 閨怨歌 가사 허난설헌 (531) 면앙정가 俛仰亭歌 가사 송순 (507) 낙은별곡 樂隱別曲 가사 남도진(南道振) (450) 속미인곡 續美人曲 가사 정철 (429)
◈ 조회순
2019.06.25
【학습】 1580년(선조 13)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송강가사 松江歌辭≫와 ≪협률대성 協律大成≫에 수록되어 있다.
2019.07.17
【학습】 조선 전기에 정극인(丁克仁)이 지은 가사. 작자의 문집 ≪불우헌집 不憂軒集≫에 전한다. 작자가 치사 후 태인에 돌아와 자연에 묻혀 살 때 지은 것으로, 속세를 떠나 자연에 몰입하여 봄을 완상하고 인생을 즐기는 지극히 낙천적인 노래이다.
2019.07.18
【학습】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4음보 1행으로 따져 48행이며, 기본 율조는 3·4조가 우세하다. 작품 연대는 정철의 나이 50세(1585)에서 54세(1589) 사이로 추측되고 있다. 군왕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은유적으로 노래하였다. ≪송강가사 松江歌辭≫라는 판본에 수록되어 있다.
2019.07.16
규원가(閨怨歌)
【학습】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원부사(怨夫詞, 怨婦詞)’ 또는 ‘원부가(怨婦歌)’라고도 한다. ≪고금가곡 古今歌曲≫과 ≪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에 실려 전한다.
2019.07.18
【학습】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경세설 警世說≫과 ≪초당문답가 草堂問答歌≫에 13편의 가사 중 하나로 실려 전한다. 이 작품은 제목에 드러나 있듯이 어리석은 사나이〔愚夫〕의 행적을 다루고 있다.
2019.07.17
【학습】 유배 가사의 하나로, 조선 정조 때 대전별감(大殿別監)이던 안조환(安肇煥)이 지은 가사(歌辭)로 '사고향(思故鄕)'이라고도 한다. 이본으로 필사본 3종이 전하며, 필사본에 따라 작자 안조환이 안도환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작자가 34세 때에 추자도(楸子島)로 유배된 사건을 작품의 배경으로 하고 있다.
2019.07.18
【학습】 조선 후기의 작자 미상의 가사. ‘경세설(警世說)’ 또는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라 불리는 가사집에 다른 12편의 가사와 함께 실려 전한다. 이 작품은 제목에 드러나 있듯이 인륜이나 도덕을 전혀 모르는 어리석은 부인〔庸婦〕의 행적을 다룬 것이다.
2019.07.17
【학습】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1책. 필사본. 월령체(月令體) 장편가사이다. 작자가 고상안(高尙顔)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정학유로 고증되었다. 필사 이본으로는 권경호본(權卿鎬本, 1876)·이탁본(李鐸本)·정규영본(丁奎英本, 1925)·안춘근본(安春根本)·이능우본(李能雨本) 등이 전하고 있다.
 
◈ 최근등록순
2019.07.18
【학습】 화전놀이를 소재로 하는 규방 가사의 하나인 「화전가」는 양가댁 규중 부녀자들이 청명절을 전후하여 화전놀이를 하면서 부른 것으로 조선 여인의 풍류 노래라 할 수 있다. 임금님의 화갑이 있는 경사스러운 해, 날씨 좋은 날 규방에 갇혀 지내던 부녀자들이 꽃 피는 봄을 맞아 화전놀이를 하기 위해 인근 산천의 명승지를 찾아 떠나는 설렘과 산천에서 자연 경관을 즐기는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2019.07.18
【학습】 1598년(선조 31) 박인로(朴仁老)가지은 가사. 작자가 38세 때에 지은 작품으로 그의 문집인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작자가 경상도 좌병사 성윤문(成允文)의 지휘 아래 왜적을막고 있을 때 부산에 있던 적이 밤에 달아나자, 성윤문이 10여일 그곳에 머무른 뒤에 본영으로 돌아와 수군(水軍)을 위로하기 위하여 박인로로 하여금 이 가사를 짓게 한 것이다.
2019.07.18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십이가사. 임을 여의고 괴로워하는 사나이가 기생집에 들러 춘흥에 탐닉함으로써 모든 괴로움을 잊어버리려는 심리를 표현한 작품으로, 육감적이고 퇴폐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2019.07.18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십이가사. 총 59구로 벼슬을 단념하고 한갓 처사로서 자연에 묻혀사는 은둔생활의 정서를 표현한 작품이다.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 歸去來辭〉를 연상하게 할만큼 그 시풍이 매우 자연 관조적이며 탈속적 향취가 그윽하다.
2019.07.18
【학습】 작자가 1592년(선조25년) 19세의 나이로 일본에서 옥고를 치르면서 지은 가사이다. 비교적 짧은 작품으로 4음 4보격으로 가사 율격을 잘 준수하였으나 1행만 6음보로 늘어난 곳이 눈에 띈다.
2019.07.18
【학습】 이 작품은 제명에 의하면, '스스로 자기를경계하는 노래'라는 경계 가사이다. 향약의 덕업상권, 격몽요결의 '학습지도요목', 학규의 '모범사목' 등과 관련이 깊은데, '덕업상권'의 20개 조목과 특히관련이 깊다.
2019.07.18
【학습】 이 노래는 대한매일신보에 실렸던 개화기 가사다. 일종의 우국경시가로 당시 일진회를 무대로 하여 날뛰던 친일파 등 매국도당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문학적 정서의 표출에 의한 창작이 아니라 다분히 목적성을 간직하였다.
2019.07.18
【학습】 조선 영조 때의 문인 김인겸의 작품으로, 영조 39년 조엄이 통신사로 일본으로 갈 때, 수행원으로 따라갔던 작가가, 출발해서 돌아올 때까지의 여정과 일본의 문물 제도, 인물, 풍속 등의견문을 기록한 기행 가사이다. 영조 39년 8월 3일 한양을 출발하여 이듬해 7월 8일 경희궁에 들어가 복명(復命)할 때까지의 약 11개월에 걸친 긴여정을 빠짐없이 기록한 것으로, 총 4책 8,000여 구나 되는 대작이다.
2019.07.18
【학습】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경세설 警世說≫과 ≪초당문답가 草堂問答歌≫에 13편의 가사 중 하나로 실려 전한다. 이 작품은 제목에 드러나 있듯이 어리석은 사나이〔愚夫〕의 행적을 다루고 있다.
2019.07.18
【학습】 이동영에 의하여 1959년에 처음 학계에 보고되어 관심 있는 학자들의 연구 자료가 되었다.제목의 뜻은 임진의 진(용을상징함)과 계사의 사(뱀을 상징함)를 취하여 선조 25년과 26년에 있었던 임진왜란을 소재로 노래한 것이다
2019.07.18
【학습】 조선 후기의 작자 미상의 가사. ‘경세설(警世說)’ 또는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라 불리는 가사집에 다른 12편의 가사와 함께 실려 전한다. 이 작품은 제목에 드러나 있듯이 인륜이나 도덕을 전혀 모르는 어리석은 부인〔庸婦〕의 행적을 다룬 것이다.
2019.07.18
【학습】 노계가 75세 되던 해인 인조 13년(1635)에 영남 안절사로 왔던 이근원이 널리 선정을 베풀어 포덕선화하다가 임기가 되어 떠날 때에 그 고장 백성들이 모두 유임하기를 간청했다고 한다. 이 사실을 들은 노계가 그의 덕치를 찬양하기 위하여 지은 송찬가사이다.
2019.07.18
【학습】 1866년(고종 3) 가례주청사(嘉禮奏請使)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온 홍순학(洪淳學)이 지은 장편의 기행가사(紀行歌辭).
2019.07.18
【학습】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4음보 1행으로 따져 48행이며, 기본 율조는 3·4조가 우세하다. 작품 연대는 정철의 나이 50세(1585)에서 54세(1589) 사이로 추측되고 있다. 군왕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은유적으로 노래하였다. ≪송강가사 松江歌辭≫라는 판본에 수록되어 있다.
2019.07.17
【학습】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총 84절(행) 168구이며, 3·4조가 주축을 이루고 있는데 4·4조, 3·3조, 2·4조 혹은 2·3조, 4·3조 등도 더러 있다. ≪송강가사 松江歌辭≫·≪송강별집추록유사 松江別集追錄遺詞≫·≪서하당유고 棲霞堂遺稿≫ 등에 수록되어 있다.
2019.07.17
【학습】 1605년(선조 38) 박인로(朴仁老)가지은 가사. 전문 68절 144구.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지은이가 통주사(統舟師)로 부산에 부임할 때 전선(戰船)에서 전쟁의 비애와 평화를 추구하는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2019.07.17
【학습】 조선 중기에 허강(許艮)이 지은 가사. 서호가·서호사(西湖詞)라고도 한다. 작자의 손자인 허목(許穆)이 편찬한 ≪선조영언 先祖永言≫과 양사언의 자필첩책(自筆牒冊)에 수록되어 전한다. 〈서호가〉(家傳本)와 〈서호별곡〉(楊氏所傳舊本)과는 사장(詞章)에 있어서 앞뒤가 서로 바뀐 것과 첨삭(添削)이 상반되는 부분이 많다.
2019.07.17
【학습】 고려 말기의 선승 혜근(惠勤)의 가송집. 1권 1책. 목판본. 1363년에 별책으로 간행되었다가 1379년에 ≪나옹화상어록≫과 합본되었으며, 혜근의 제자 각운(覺雲)이 편집하였다. 권두에 〈완주가 翫珠歌〉·〈백납가 百衲歌〉·〈고루가 枯盧歌〉의 3수와 이에 대한 이색(李穡)의 후기(後記)가 실려 있으며, 이어서 송(頌)·게(偈)·찬(讚) 등 300여 수가 수록되어 있다.
2019.07.17
【학습】 조선 전기에 정극인(丁克仁)이 지은 가사. 작자의 문집 ≪불우헌집 不憂軒集≫에 전한다. 작자가 치사 후 태인에 돌아와 자연에 묻혀 살 때 지은 것으로, 속세를 떠나 자연에 몰입하여 봄을 완상하고 인생을 즐기는 지극히 낙천적인 노래이다.
2019.07.17
【학습】 1588년(선조 21)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26구이다. 음수율에서는 3·4조가 주조를 이루며, 2·4조, 3·3조, 4·4조, 5·5조, 5·3조 등도 나타난다. ≪송강집 松江集≫·≪송강가사 松江歌辭≫·≪문청공유사 文淸公遺詞≫ 등에 실려 전한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내방 가사 (40) 백과 기행가사 (34) 백과 불교가사 (17) 계녀가 (11) 백과 박인로 (11) 백과 1723년 (6) 백과 연정가사 (5) 정훈 (5) 백과 나옹 (4) 백과 남철 (4) 의병가사 (4) 정철 (4) 백과 조우인 (4) 백과 17세기 (3) 백과 1913년 (3) 백과 19세기 (3) 백과 구강 (3) 백과 김경흠 (3) 사친가 (3) 옥선 (3) 이이 (3) 백과 이황 (3) 백과 침굉 (3) 휴정 (3) 백과 1585년 (2) 백과 1611년 (2) 백과 1617년 (2) 백과 1623년 (2) 백과 1638년 (2) 백과 1694년 (2) 백과 1704년 (2) 백과 1727년 (2) 백과 1776년 (2) 백과 1783년 (2) 백과 1792년 (2) 백과 1794년 (2) 백과 1896년 (2) 백과 1902년 (2) 백과 강복중 (2) 과부가 (2) 곽시징 (2) 권섭 (2) 백과 기행문 (2) 백과 김진형 (2) 백과 노처녀가 (2) 농부가 (2) 백과 단장이별곡 (2) 시집살이 노래 (2) 영산가 (2) 이기경 (2) 이방익 (2) 잡가 (2) 백과 잡록 (2) 정극인 (2) 백과 최현 (2) 백과 향산별곡 (2) 호서가 (2)
◈ 참조 키워드
유배 가사 (12) 백과 담양군 (9) 백과 악부 (9) 금강산 (7) 백과 송강가사 (7) 백과 박인로 (5) 백과 초당문답가 (5) 백과 화전가 (5) 백과 내방 가사 (4) 백과 노계집 (4) 백과 십이가사 (4) 백과 안동시 (4) 백과 정철 (4) 백과 춘면곡 (4) 백과 평양시 (4) 백과 가사 (3) 감응편 (3) 거창군 (3) 백과 고공가 (3) 백과 교주가곡집 (3) 백과 기행가사 (3) 백과 달성군 (3) 백과 만언사 (3) 백과 문경시 (3) 백과 어부사 (3) 백과 월령체 (3) 백과 정학유 (3) 백과 처사가 (3) 백과 1555년 (2) 백과 1866년 (2) 백과 경주시 (2) 백과 계녀가 (2) 백과 고공답주인가 (2) 백과 고금가곡 (2) 백과 관동별곡 (2) 백과 관서별곡 (2) 백과 기성별곡 (2) 나옹 (2) 백과 나옹화상어록 (2) 백과 낙지가 (2) 백과 대풍류 (2) 백과 도드리 (2) 백과 만언답사 (2) 명월음 (2) 백과 묘향산 (2) 백과 백구사 (2) 백과 백수회 (2) 백과 (2) 백과 부채춤 (2) 백과 북천가 (2) 백과 불우헌집 (2) 백과 사행가사 (2) 삼첩승가 (2) 상주시 (2) 백과 서왕가 (2) 백과 송여승가 (2) 안조환 (2) 백과 역대가 (2) 연행록 (2) 영주시 (2) 백과 영천시 (2) 백과 예천군 (2) 백과 용사음 (2) 백과 의성군 (2) 백과 이명선 (2) 백과 이언적 (2) 백과 이이 (2) 백과 임진왜란 (2) 백과 재송여승가 (2) 재일본장가 (2) 전쟁 가사 (2) 제주특별자치도 (2) 백과 죽지사 (2) 백과 지리산 (2) 백과 천년만세 (2) 최현 (2) 백과 판소리 (2) 백과 해동가곡 (2) 허전 (2) 혜근 (2) 황계사 (2) 백과 회심곡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동음이어
우리 나라의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 가사체로 된 긴 사설을 정해진 곡조에 올려 부르는 노래이다.
(용어) 가정 생활을 꾸려 가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일.
(용어) 겉으로 보기에는 숨도 안 쉬고 심장도 멈춰 죽은 것같이 보이나 뒤에 다시 살아날 수 있는 상태.
(용어) 중이 입는 법의.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치는 옷이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목록】고전 시가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