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경상남도 거제시의 본섬으로, 제주도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큰 섬이다. 면적은 382.2 km2(거제시 전체의 면적은 403.86km2)이다.
|
- 목 록 -
|
|
|
|
2024년 9월
|
2024년 9월 5일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
|
2024년 8월
|
2024년 8월 31일
|
|
거제전래설화집
|
|
|
거제전래설화집
|
|
|
|
|
|
▣ 시민 참여 (최근등록순)
- 하위디렉터리 포함
|
|
◈ 시민참여
|
◈ 보도자료
|
|
2024.09.05
|
|
|
【문화】
근포마을 뒤편 바닷가에 5개의 땅굴(길이 20~50m, 높이 5m)이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41년 일본군이 외지인 보급대를 동원하여 발파 작업 등으로 포진지 용도로 굴착하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중단되었다. 이 같은 사실은 2015년 당시 윤치원 마을 이장의 모친(당시 92세. 현 작고)께서 18세 때 시집오니 일본군이 주둔하면서 굴착을 시작하였고, 김부관(당시 84세) 마을 어른은 당시 10살 때 발파작업을 하면 멀리서 구경하며 뛰놀았다고 전하며, 이 두 어른의 이야기를 들어 그 유래를 알 수 있었다.
|
|
|
|
|
2024.09.05
|
|
|
【문화】
다음 페이지의 사진은 시계방향으로 거제도 남동쪽 지세포(왼쪽 아래)부터 아양(지금 한화오션)과 해변, 두모, 느태, 능포, 양지암, 장승포항과 옥림리 일대까지 중요한 해변들을 담고 있다. 사진을 자세히 살펴보면 왼쪽 아래 지세포만에 ‘149’라는 숫자와 ‘옥림리(Ongnim-Ni)’라는 영문 지명이 등장한다. 지세포 건너편에 내도가 약간 보인다.
|
|
|
|
|
2024.09.05
|
|
|
【문화】
거제에는 마을 곳곳에 마을에서 나고 자란 인물들로 그 효심을 기리기 위해 지금도 비석으로 자리 한켠을 지켜내고 수줍게 거제시민들에게는 효의 정신을 가르치고 있다. 거제 남부면 명사해수욕장 동쪽 끝, 그리고 6월이면 수국 축제가 열리는 저구마을에 독특한 비석이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다. 명사 앞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이 비석은 어떤 사연이 담겨 있는지 궁금하다.
|
|
|
|
|
2024.09.05
|
|
|
【문화】
열녀비란 죽음을 무릅쓰고 절개를 지킨 여자의 행적을 새겨 세운 비석이 열녀비다. 열녀비에 실린 내용을 종합해 보면 청상과부가 되어 시부모를 공경하고 슬하의 자식들을 훌륭하게 키웠다는 공통된 점들을 발견하게 된다. 거제도 열녀비들에서도 그와 비슷한 내용의 공통점이 발견된다.
|
|
|
|
|
2024.09.05
|
|
【문화】
거제는 사면이 바다이다 보니 배〔船〕하고 연관이 깊고 거제의 역사는 배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아래 사진은 통구민이라고 하는 배이다. 통나무를 깎아 만든 배라 하여 통선이라고도 하고 통구밍이라고 부르는 무동력선이다. 거제를 비롯한 남해안 일대에서는 이 배로 고기도 잡고 섬에서 육지로 오가는 유일한 교통수단이었다. 거제 지세포에 있는 어촌민속전시관에서 이 통구민 배를 볼 수 있다.
|
|
|
|
|
2024.09.05
|
|
|
【문화】
한반도는 유사 이래 북쪽으로부터는 유목민족, 남방에서는 왜적들로부터 끊임없는 침탈을 받아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변방에 봉수대를 정비하고 중앙에 신속하게 알리는 일은 매우 중요했다. 그리하여 왜적을 방어하기 위해 요해처 곳곳에 봉수대가 설치되었다. 그중 거제도는 한반도를 침략하는 왜구가 식수와 땔감을 얻기 위해 가장 먼저 선착하는 지역 중 하나였다.
|
|
|
|
|
2024.09.05
|
|
|
【문화】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는 초대 통제사로 이순신(1593. 8~1597. 2)이 임명된 이후, 제2대 원균(1597. 1~8), 제3대 이순신(1597. 8~1598. 11), 제4대 이시언(1599. 1~1601. 5), 제5대 류형(1602. 1~1603. 2), 제6대 이경준(1603. 2~1605. 9)이 거제 오아포, 한산도, 춘원포 일대에서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제208대 홍남주(1894. 10~1896. 5)를 끝으로 1895년에 폐영되었다. 군사적 요충지로서 중요성이 부각되었던 거제도에서 삼도수군통제사의 흔적을 찾아 본다.
|
|
|
|
|
2024.09.05
|
|
|
【문화】
향교란 고려와 조선시대에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관학 교육기관으로서 인종 5년(1127년)에 인종이 각 군현에 학교를 설립하도록 함으로써 향교의 시초가 되었다. 조선이 건국되고 억불숭유정책으로 태조 7년에 고려의 제도를 따라서 성균관을 건립하고 지방에서는 국책으로 향교를 각 고을마다 세웠다.
|
|
|
|
|
2024.09.05
|
|
【문화】
세종 대에 자체적으로 위도와 경도 측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상세한 지도제작이 가능해지고 세종에 이어 세조 역시 지도 제작에 관심이 많아 동국지도가 완성되기도 하였으나 많은 전란 속에 소실되었다. 18세기 영·정조시대 농업과 상업의 발전으로 다양한 지도 제작이 성행하여 현재 남아 있는 지도 대부분은 조선 후기의 것들이다.
|
|
|
|
|
2024.09.05
|
|
|
【문화】
거제부지도 〈지도 1〉의 오른쪽(동쪽)에 ‘대마도 산천 수로 480리(對馬島山川水路四百八十里)’라고 적혀 있다. 거제의 포구가 나란히 바다를 사이에 두고 대마도와 마주 보고 있는 것을 뜻하는데, 〈지도 2〉를 보아도 정말 가까이 있는 두 섬인데. 그래서 두 섬 사이에는 잔혹한 전쟁사뿐만 아니라 따뜻한 위로의 이야기도 있다. 바로 표류인이 그것이다.
|
|
|
|
|
2024.09.05
|
|
|
【문화】
“왜(倭)가 고성, 죽림, 거제(固城·竹林·巨濟)를 노략질하니 함포천호 최선(合浦千戶 崔禪)과 도령 양관(都領 梁琯) 등이 싸워 격파하고 300여 급을 참획(斬獲)하였다. 왜구(倭寇)의 침탈이 이때부터 시작되었다.”라고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기에 거제·고성 지역은 대마도와 최단 거리에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왜구에게 피해를 입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
|
|
|
|
2024.09.05
|
|
|
【문화】
조선 후기 숙종 37년(1711년)에 거제는 현에서 도호부로 승격된다. 거제가 도호부로 승격하는 데에는 거제의 지리적 위치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거제(巨濟)는 해문(海門)의 요충(要衝)에 있으니, 중진(重鎭)을 설치하고 열진(列鎭)을 절제(節制)함이 마땅한데, 그 현령(縣令)이 도리어 첨사(僉使)의 아래에 있으니 부사(府使)로 승격시켜 방어사(防禦使)를 겸임케 함이 마땅합니다.”
|
|
|
|
|
2024.09.05
|
|
|
【문화】
● 이호성 - 거제현령 이호성은 어릴 때 체격이 좋았고, 자라서는 병법서를 많이 읽었으며, 말타기, 활쏘기에 뛰어났다. 세종 9년(1427년)에 무과에 급제하고, 여진족 정벌에 참여할 장수로 뽑혀 최윤덕을 따라 여진족 정벌에 큰 공을 세웠다. 동서(東西) 양계(兩界)에 화포를 능숙하게 다루는 감련관으로 선발되어 파견되기도 한다.
|
|
|
|
|
2024.09.05
|
|
|
【문화】
임진왜란이 끝나자 전란 중에 각 방면에서 공을 세운 문·무 관원에 대한 공신책봉 문제가 논의되다가, 선조 37년(1604) 호성공신(扈聖功臣), 청난공신(淸難功臣)과 더불어 ‘선무공신’을 선정하였다. 지휘관급인 이순신 장군을 비롯한 18명을 ‘선무공신’으로 칭호하여 1등에는 임진왜란에서 육군과 해군을 이끈 이순신(李舜臣), 권율, 원균 등 3인의 장수가 선정되었다.
|
|
|
|
|
2024.09.05
|
|
|
【문화】
임진왜란의 아픔, 경상우수사 원균의 지휘로 참혹한 패전을 맛보았던 해전이다. 이미 왜구들의 속내를 간파하며 왕명을 끝까지 따르지 아니하여 파직과 백의종군을 감당해야 했던 이순신과 왕명에 복종하여 무리한 해전을 나가야 했던 칠천량해전을 우리는 알아볼 필요가 있다.
|
|
|
|
|
2024.09.05
|
|
|
【문화】
왜성이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왜군이 사용할 목적으로 쌓은 성을 말한다. 왜성은 두 가지 성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명나라로 가기 위하여 부산에서 서울을 지나 의주까지의 거처와 군수물자 보급로 확보를 위해 쌓은 성이다. 조선의 읍성을 고쳐서 사용하거나 간단하게 축성했다.
|
|
|
|
|
2024.09.05
|
|
|
【문화】
한산도는 1,200여 년 동안 거제의 땅이었다.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에는 명진현에 속했으며 조선시대에는 둔덕면에 속하였으나 1,900년 진남군이 설치되면서 한산면과 가조도가 진남군에 편입되었다. 1909년에 진남군이 용남군으로 개칭되면서 용남군 소속 가조리를 분리하여 가조면이 되었고, 일제강점기인 1914년 3월 1일에 용남군과 거제군을 통합하여 통영군을 설치하였으며 통영군 서부면을 거제면으로 개칭하였고 이때부터 거제는 통영군 소속으로 있었다.
|
|
|
|
|
2024.09.05
|
|
|
【문화】
우리가 알고 있는 ‘한산도대첩’의 원래 명칭은 ‘견내량해전’이다. 이는 이순신 장군이 선조 임금에게 보낸 장계 〈견내량파왜병장〉에서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당시 해전의 이름은 전투가 최초 일어난 지역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옥포해전이나 사천해전, 합포 및 적진포, 당포해전도 마찬가지로 전투가 최초 일어난 지역의 이름을 붙여 명명하였다.
|
|
|
|
|
2024.09.05
|
|
|
【문화】
거제는 한반도 남해안 방어의 최전선 역할을 한 군사적 요충지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외세의 침입에 대비해 쌓은 다양한 성곽의 흔적을 볼 수 있다. 거제에는 현재 우리가 쌓은 성 20개, 왜구가 쌓은 성 4개 등 모두 24개의 성곽 유적 및 그 흔적을 곳곳에서 볼 수 있으며, 단일 섬 지역에 이렇게 많은 성곽이 잔존하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사례로 알려져 있다.
|
|
|
|
|
2024.09.05
|
|
|
【문화】
옥포해전은 경상우수사 원균(1540~1597)과 전라좌수사 이순신(1545~1598)의 연합함대가 협력하여 싸운 최초의 연합전투이며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원동력이자 희망의 신호탄이었다. 그동안 옥포해전 출전 경로를 두고 전라좌수영 수군과 경상우수영 수군이 고성 당포(唐浦) 앞바다에서 합류한 후 거제도 북쪽 해역을 돌아 옥포에 이르렀다는 북로설(北路設)과 거제도 남쪽 해역을 경유했다는 남로설(南路設)로 나뉘어져 그와 관련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
|
|
|
|
2024.09.05
|
|
|
【문화】
옥포해전은 1592년 5월 7일 정오에 옥포에 정박하여 거제지역을 약탈하고 있던 왜선 30여 척 중 26척을 조선 수군 연합함대가 격파하고 왜군을 수장시킨 전투로 임진왜란 승리의 원동력이 된 전투로서 조선의 백성들에게 희망의 신호탄이 된 전투였다. 옥포해전을 위한 이순신 장군의 1차 출정에 대해 알아보겠다.
|
|
|
|
|
2024.09.05
|
|
|
【문화】
삼포왜란과 관련한 하청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 삼포개항과 계해약조, 삼포왜란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알 필요가 있다. 그래서 먼저 삼포개항부터 알아보려고 한다. 삼포란 세 개의 항구를 말한다. 그 세 곳은 진해 웅천의 내이포, 동래의 부산포, 울산의 염포를 말하는데 아래와 같다.
|
|
|
|
|
2024.09.05
|
|
|
【문화】
조선통신사는 조선시대 일본의 실권자인 막부장군에게 파견한 양국 간 정상외교사절단으로, 무로마치시대 초기부터 에도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파견되었다. 사절단의 명칭은 ‘통신사’뿐 아니라 회례사, 회례관, 보빙사, 경차관, 통신관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즉 ‘통신사’ 란 명칭은 현재의 시점에서 역사적 용어를 사용한다고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
|
|
|
|
2024.09.05
|
|
|
【문화】
거제가 부족국가를 이루고 산 것은 기원전 300년경인 삼한시대로 변한 12개의 토호국 중 독로국(瀆盧國)이었다. 다산 정약용의 《아방강역고》에 ‘거제는 독로국’이라는 기록을 남기고 있으며, 《삼국지》 변진전(弁辰傳)에는 변진독로국(弁辰瀆盧國)이라는 나라 이름과 함께 “그 독로국(瀆盧國)은 왜(倭)와 경계하고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
|
|
|
2024.09.05
|
|
|
【문화】
수월평(水月坪)에 목책을 만들고 임시 거처를 만들고 소규모의 농지를 개간하여 농사를 짓고 지냈으나 2년 만에 자리가 좁고 백성을 보호할 장소가 협소하여 사등으로 치소지를 옮기는 계획을 세우게 된다. 경상도 감사 이자직은 거제현의 이전과 수호군의 증원에 따른 의견을 장계하고 있다.
|
|
|
|
|
2024.09.05
|
|
|
【문화】
거제는 왜와 가까워 왜구에 많이 시달린 지역이었다. 이 시기는 많은 지역들이 왜구의 침략으로 백성들의 원성이 많았을 뿐 아니라, 삼별초의 항쟁으로 거제현을 침입하여 전함을 불사르고 현령을 잡아가는 등 백성들이 살기 어려워지고 고려 조정 또한 물리칠 궁리를 하고 있었지만, 묘책을 찾지 못했다.
|
|
|
|
|
2024.09.05
|
|
|
【문화】
수륙재(水陸齋)란 불교에서 물과 육지에 훌훌 떠도는 영혼들과 악귀들에게 공양함으로써 고뇌를 제거한다는 법회이다. 조선 태조가 고려 왕족이 살해된 강화, 거제, 삼척에 명하여 고려 마지막 왕과 왕족들을 위로하고 국가의 안녕과 화합을 기원하기 위해 삼척의 삼화사와 강화도 관음굴, 거제현 견암사에서 수륙재를 지내게 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견암사는 거창 가조면 우두산 의상봉 아래 있는 고견사의 옛 이름이다.
|
|
|
|
|
2024.09.05
|
|
|
【문화】
고려시대 거제도는 수도 개경에서 최남단 도서지방으로서 변방이라는 인식이 강하였다. 그러한 지리적 위치에 의해 거제도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왕족과 지배계층의 정치적 유배지 중 하나였다. 고려시대~조선시대에 왜 거제도를 유배지로 정하였을까? 앞서 말했듯이 고려시대 개경 중심에서 보았을 때 가장 거리가 먼 서남부 도서지역을 유배지로 정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
|
|
|
2024.09.05
|
|
|
【문화】
일본과 가장 근접한 거제도는 왜구의 침입이 잦았다. 신라가 멸망하고 고려가 집권하면서 강력한 통치를 위한 행정개혁을 서둘게 되었는데 성종 14년(995년)에는 10도, 12주 절도사의 중앙집권제를 확립하며 지금의 경상남도 서부지역을 산남도(山南道)라 했다. 거제도는 산남도에 속하면서 진주절도사의 관할하에 있게 되었다.
|
|
|
|
|
2024.09.05
|
|
|
【문화】
삼별초는 고려 최씨정권의 사병으로 좌별초(左別抄)·우별초(右別抄)·신의군(神義軍)을 말한다. 별초는 본래 전시의 임시적 군대조직인데, 최씨 무신정권기에 편성된 삼별초는 상비군의 구실을 했다. 1232년(고종 19) 무신집권자 최우(최이)가 수도 개경의 밤순찰과 수비를 위해 특별한 부대를 조직하고 이를 야별초(夜別抄)라 했는데 군사의 수가 많아지자 이를 나누어 좌별초와 우별초라 했고, 대몽전쟁이 터지자 몽골에 포로로 잡혀갔다
|
|
|
|
|
2024.09.05
|
|
|
【문화】
고려시대 거제현의 성씨는 토성, 내성, 속성, 촌성, 백성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토성(土姓)은 거제 본래의 토착성이고 내성(來姓)은 주로 거제지역 인근 군현의 토성에서 이속되어 온 성이며, 속성(續姓)은 여말선초 이래로 거제현의 향리가 부족하여 이를 보충 내지 열읍(列邑) 간 조정한 결과 옮겨와서 형성된 성이고, 촌성(村姓)은 토성이 확정된 후에도 거제현의 관내에서 독자적인 구역을 보유한 채 임내(任內)와 병렬해 있던 촌락의 성이며 백성성(百姓姓)은 거제지역 촌락지배의 성단(姓團)으로서 거제현의 성립 시에 참가한 읍내(邑內)의 인리성(人吏姓)과 함께 토성이 된 성이다.
|
|
|
|
|
2024.09.05
|
|
|
【문화】
둔덕면 거림리에는 거제의 20여 개 성곽 중 하나인 거제둔덕기성이 있다. 고려 의종 집권 24년인 1170년 정중부 등 차별받던 무신들 이 문신들을 죽이는 난을 일으켰다. 의종과 그를 따르는 신하, 가족들은 거제 기성현으로 피하여 왔다.
|
|
|
|
|
2024.09.05
|
|
|
【문화】
거제도에는 새가 날개를 펼치고 있는 모습이 있다. 오른쪽 자락 끝에 있는 아주동을 말하는 것인데, 용소 늪에 거위〔鵝〕가 서식하고 있다고 하여 아주동(鵝州洞)이라고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오늘도 힘찬 날갯짓하는 아주동에는 아주동고분군(巨濟 鵝州洞 古墳群)이라는 경상남도기념물 제161호가 있다.
|
|
|
|
|
2024.09.05
|
|
【문화】
가야의 전기 제국은 변진 12국으로 (1) 미리미동국(彌離彌凍國), (2) 접도국(接塗國), (3)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4) 고순시국(古淳是國), (5)반로국(半路國), (6) 낙노국(樂奴國), (7) 미오야마국(彌烏邪馬國), (8) 감로국(甘路國), (9) 구야국(拘邪國), (10) 주조마국(走漕馬國), (11) 안야국(安邪國), (12) 독로국(瀆盧國)이 있다.
|
|
|
|
|
2024.09.05
|
|
|
【문화】
거제에는 청동기시대에 세력이 큰 부족이 많이 살았음을 고인돌 유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05년 거제시와 동아문화연구원에서 거제 전 지역 전수조사를 한 결과 거제의 해안가와 하천 주변 들판 등 73개소에 492개의 고인돌이 있었다. 그러나 1973년과 1974년 한화오션(구 대우조선)과 삼성중공업 등 국가조선산업단지가 조성되고 도시의 팽창과 주거환경 개선 등으로 인하여 이제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
|
|
|
|
2024.09.05
|
|
|
【문화】
거제(巨濟)라는 지명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명명된 이후 제창현, 통영군 등의 이름으로 잠시 변경되기도 하였지만, 1,200여년 동안 사용하고 있다. 그 이전에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 변진’ 에는 변진독로국(弁辰瀆盧國)이란 나라 이름과 함께 “그 독로국(瀆盧國)은 왜(倭)와 경계(境界)에 있다.”라는 내용이 있다.
|
|
|
|
|
2024.09.05
|
|
|
【문화】
거제도에서 아직까지 구석기시대 유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런데 산달도패총과 대포패총 등에서 융기문토기(隆起文土器)와 빗살무늬토기(즐문토기: 櫛文土器) 등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면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부터 늦은 시기에 걸쳐 사람들이 거주하였고 고기잡이와 가축사육 등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
|
|
|
|
2024.08.31
|
|
|
【문화】
옛날에는 거제에서 육지로 가려면 범선이나 목선을 타야만 했다. 이 배들은 마산이나 부산을 오고 갔는데 날씨가 좋지 못해 바람이라도 세게 부는 날이면 배를 띄우지 못해 육지를 가는 데 여러 날이 걸리기도 했다. 그 시절 거제도에는 솜씨 좋은 사공 하나가 있었다. 사공은 큰 배를 타고 칠천도를 지날 무렵 북쪽으로 불어오는 거센 바람을 만나게 됐다.
|
|
|
|
|
2024.08.31
|
|
【문화】
옛날 거제도로 부임한 원님이 고향을 떠나 혼자 살기 심심하고 음식을 만들어 먹기도 불편할 듯 해서 부임하면서 딸을 데리고 왔다. 원님이 거제도 백성들의 크고 작은 고민거리를 해결해주며 지내던 어느 날 원님의 집에 새로 젊은 하인이 들어왔다.
|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참조정보
없 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