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때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였던 박진(朴晉) 등이 중심이 되어 경주를 수복 탈환한 싸움.
이 싸움은 나라가 위급한 지경에 있을 때 관(官)과 민(民)이 힘을 합쳐 나라를 지켜낸 점과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라는 새로운 과학 무기를 발명하여 그 위력으로 승리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과학적 저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1592년(선조 25) 4월 부산포에 가토 기묘마사[加藤淸正]가 이끄는 2만여 명의 왜군이 경주를 공격하였다. 이 때는 마침 경주부윤의 교체가 있었으므로 방비가 허술하여 비록 장기현감 이수일(李守一), 판관 박의장(朴毅長) 등의 저항이 있었으나 결국 경주성은 쉽게 왜군의 손에 넘어가고 말았다. 그 해 7월 의병장 권응수(權應銖)가 영천(永川)을 공격한 왜군과의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자 경상좌병사 박진은 의병장 정세아(鄭世雅)의 병력을 권응수의 휘하에 합류시켜 1만여 병력으로 경주 탈환을 위한 총공격에 나섰으나 적의 구원병의 기습을 받아 싸움은 패배로 끝났다.
박진은 경주성 탈환을 결의하고 다시 결사대 1,000여 명을 모아 성 밑에 잠복시켰다. 이 때, 또 화포장
이장손(李長孫) 등이
비격진천뢰라는 새로운 무기를 만들어 냈으므로 판관 박의장(朴毅長)을 선두에 세워 9월 다시 공격에 나섰다.
이에 왜군은 비격진천뢰의 화력에 당하지 못하고 사상자 수백 명을 낸 채 울산 서생포(西生浦)로 도망감으로써 마침내 경주성은 탈환되었다.
왜병장 가토는 서생포에 주둔하고 있으면서 여러 번 경주성을 공격하다 8월 수 천의 병력으로 총공세에 나섰으나 아군이 명(明)나라와 합세하여 격퇴시킴으로써 경주는 완전히 수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