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기자(箕子)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기자 (箕子)
[? ~ ?] 고조선 시대의 전설상의 기자 조선 시조. 이름은 서여(胥餘), 또는 수유(須臾)이다. 주(周)의 무왕 이 은나라를 멸망시키자, 동쪽으로 도망하여 고조선에 들어와 예의와 베 짜는 법, 8조 금법을 가르쳤다 한다.
기자 (箕子) [? ~ ?] 고조선 시대의 전설상의 기자 조선 시조. 주(周)의 무왕이 은나라를 멸망시키자, 동쪽으로 도망하여 고조선에 들어와 예의와 베 짜는 법, 8조 금법을 가르쳤다 한다. 뒤에 중국 한나라의 무제에 의하여 조선 왕에 봉해졌다고 하나, 이것은 후세 사람들의 사대 사상에서 나온 것으로 확실한 것은 아니다. 중국의 옛 기록에 보면 기자의 묘는 양(梁)나라 몽현(蒙縣)에 있다 하며, 우리 나라 평양에 남아 있는 기자묘나 사당 등은 모두 고려·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이 때부터 기자에 대한 숭배 사상이 강해진 것으로 여겨진다.
◈ 지식지도 관계
기자 (箕子) 팔조금법 단군 조선 (檀君朝鮮) 대월지 (大月氏) 한사군 (漢四郡) 1책 12법 고조선 (古朝鮮) 기자 조선 -194 위만 조선 -206 (漢) -770 (周) (燕) 청동기 시대 기원전 108년 기원전 141년 -141 한 무제 (漢武帝) 주 무왕 (周武王) -194 위만 (衛滿) 단군 (檀君) 주 성왕 (周成王) B.C.2C중 장건 (張騫) b.c. 12c 주공 단 (周公旦) 강상 (姜尙) 주 문왕 (周 文王) 주왕 (紂王)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1287 제왕운기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맥수가 麥秀歌 기자(箕子) (3)
◈ 참조 원문/전문
◈ 조회순
2024.07.14
21. 평안남도 용강 보림사를 찾아서
【문화】 평안도(平安道)로 올라가기 위해서 황주(黃州)를 떠난다. 기차(汽車)가 중화(中和)역에 닿으니 싸늘한 가을하늘이 너무도 맑게 개여 있어 자욱히 낀 안개 속에 먼 산용(山容)이 앞에 다가선다. 평안남도(平安南道)의 어구에 있는 중화군(中和郡) 내에서 이 중화읍(中和邑)이 가장 큰 도시이다. 간혹 지나가는 트럭이 보이고, 자전거를 탄 시민이 하나 둘 있는 한적한 읍(邑)이다.
 
 
◈ 최근등록순
2024.07.14
21. 평안남도 용강 보림사를 찾아서
【문화】 평안도(平安道)로 올라가기 위해서 황주(黃州)를 떠난다. 기차(汽車)가 중화(中和)역에 닿으니 싸늘한 가을하늘이 너무도 맑게 개여 있어 자욱히 낀 안개 속에 먼 산용(山容)이 앞에 다가선다. 평안남도(平安南道)의 어구에 있는 중화군(中和郡) 내에서 이 중화읍(中和邑)이 가장 큰 도시이다. 간혹 지나가는 트럭이 보이고, 자전거를 탄 시민이 하나 둘 있는 한적한 읍(邑)이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단군 조선 (3) 백과 삼국유사 (2) 백과 홍익 인간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기사(記事)를 쓰는 사람. 특히 신문, 잡지, 방송 등 새 소식을 전하는 기업체에서 기사를 취재, 집필하거나 편집, 평론을 맡아 보는 사람을 이른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