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대동법(大同法)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대동법 (大同法)
조선 중기에 각 지방의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바치게 한 제도. 공납의 폐단을 없애기 위한 것이 대동법이었다.
대동법 (大同法) 조선 중기에 각 지방의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제도. 본래 특산물로 바치던 공납 그것을 바치는 시기와 지방에 따른 물품이 맞지 않아 여러 가지 폐단 이를 미끼로 한 관리들의 농간으로 백성들의 부담이 컸었는데, 그 폐단을 없애기 위한 것이 대동법이었다. 17세기 초 이원익, 한백겸의 주장으로 경기도에 먼저 실시되고, 점차 확대되어 숙종 때에는 함경도, 평안도를 제외한 전국에 실시 대동법의 실시로 공물 청부업자인 공인(貢人)이 생겨 이들이 산업 자본가로 성장, 조선 후기의 상공업 발달에 커다란 구실
◈ 지식지도 관계
대동법 (大同法) 공납 (貢納) 조세 (租稅) 조용조 (租庸調) 간접세 (間接稅) 국세 (國稅) 균전제 (均田制) 실학 (實學) 지방세 (地方稅) 직접세 (直接稅) 대북파 (大北派) 1575 동인 (東人) 1591 남인 (南人) 1604 호성 공신 1750 균역법 (均役法) 1608년 17세기 (17世紀) 1600년대 1600년 1601년 1602년 1603년 1604년 1605년 1606년 1607년 1609년 1547 이원익 (李元翼) 1552 한백겸 (韓百謙) 1501 이황 (李滉) 1519 민순 (閔純) 1536 이이 (李珥) 1539 정여립 (鄭汝立) 1543 정구 (鄭逑) 1545 이순신 (李舜臣) 1595 허목 (許穆) 1608 광해군 (光海君) 1617 윤휴 (尹鑴) 1608 선혜청 (宣惠廳) 균역청 (均役廳) 진휼청 (賑恤廳) 1510 비변사 (備邊司) 993 상평창 (常平倉) 동국지리지 고공답주인가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조선 (5) 백과 김장생 (4) 백과 성혼 (4) 백과 김상헌 (3) 백과 성리학 (3) 백과 인조실록 (3) 백과 조선 현종 (3) 백과 조세 (3) 백과 1608년 (2) 백과 균전제 (2) 백과 김구 (2) 백과 김상용 (2) 백과 김육 (2) 백과 남인 (2) 백과 백두산 정계비 (2) 백과 병자호란 (2) 백과 서인 (2) 백과 숙빈 최씨 (2) 시헌력 (2) 백과 실학 (2) 백과 유형원 (2) 백과 윤근수 (2) 백과 윤두수 (2) 백과 이괄의 난 (2) 백과 이귀 (2) 백과 이항복 (2) 백과 인조 반정 (2) 백과 정묘호란 (2) 백과 조선 경종 (2) 백과 조용조 (2) 백과 조호익 (2) 백과 희빈 장씨 (2) 백과
◈ 참조 키워드
공물 (2) 김육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조선시대 조세 제도.
참고: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