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돌이나 깬돌을 이용하여 널을 넣을 널길을 갖춘 굴식 돌방무덤. 반지하 또는 지면 가까이에 쌓았다. 일반적으로 널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과 돌무지· 진흙·숯·재 등으로 덮은 뒤 흙으로 봉토를 만들었는데, 그 형태는 다양하다.
랴오둥 반도에 있던 중국계 봉토분의 영향을 받은 한반도에서는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전반에 걸쳐 발생하였으며, 돌무지 무덤의 전통이 있는 고구려 가 낙랑이 멸망한 뒤부터 봉토돌방무덤을 짓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고구려가 수도를 평양으로 옮긴 이후 이러한 돌방무덤 양식이 크게 유행하였다.
돌방의 벽을 쌓는 돌은 초기에는 냇돌·깬돌을 썼지만, 나중에는 잘 다듬은 큰 판석을 여러 장 세워 만들었다.
고구려 돌방무덤은 돌방의 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하는데, 즉, 널방 하나만으로 이루어진 외방무덤과 널방에 앞방·뒷방·옆방 등이 붙어 2개 이상의 방으로 이루어진 여러방무덤이 있다. 천장을 만드는 데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첫째, 돌바의 네 벽을 반듯하게 쌓아올리고, 그 위에 여러 장의 판석을 덮어 천장으로 한다.
둘째, 돌바의 네 위쪽으로 쌓아가면서 모서리를 죽여가다가 마지막으로 하나 또는 2개의 판석을 나란히 덮어 만든다.
셋째, 돌바의 네 벽을 반듯하게 쌓아올리되, 각 단마다 모서리를 죽여가다가 마지막으로 1개의 커다란 판석을 올려서 천장을 만든다. 특히, 고구려의 돌방무덤이 판석을 이용하여 모서리를 죽여가면서 쌓아올려 만든 모줄임식 천장이다.
그리고 고구려의 돌방무덤은 반지하나 지하에 돌방이 만들어지고, 봉토 안에 돌방이 하나나 서너 개인 경우도 있지만, 널방 과 앞방이 있는 두방 무덤 형식을 주로 이용하였다.
돌방의 벽은 처음에는 깬돌을 이용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큰 판석을 이용해서 쌓았다. 깬돌을 사용한 경우에는 벽의 표면에 회를 바른 다음 벽화를 그리고, 판석을 사용한 경우에는 표면에 직접 벽화를 그렸다.
돌방 벽면과 천장에 그림을 그린 벽화 무덤은 무덤을 쌓은 방법과 그림의 주제 및 변화에 따라 전기·중기·후기의 3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전기(350~450년경)의 무덤 형태는 외방무덤 또는 여러방무덤으로 무덤 입구에서 돌방에 이르는 널길이 남벽 동쪽에 만들어졌다. 황해도 안악군 동수묘와 덕흥리 무덤이 이 시기의 무덤으로서, 이 당시 유행한 그림의 주제는 부부 초상· 사냥 · 무용·행렬을 비롯하여 살아 있을 때의 생활 모습을 담은 인물 풍속도 등이다.
중기(450~550년경)에는 각저총 · 무용총· 개마총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고구려식 돌방무덤 의 개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앞방이 작아져 딸린 방처럼 되고, 널방에 무덤 주인의 초상이 놓인다.
전기에는 그림의 주제가 인물 중심이었으나 이 때에는 사신도와 인동당초문을 비롯해서 불교적 장식 무늬도 보인다.
후기(550~650년경)의 대표적인 무덤으로는 지안의 사신총과 진파리 1·2호 등이 있다. 이 때의 무덤 양식은 복잡하지 않고 단순화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외방무덤이고 무덤 바닥과 지면이 가까워진다.
그림의 주제도 단순화되어 사신도가 주류를 이룬다. 이 시기의 외방무덤 양식과 벽화의 주제 등은 백제· 신라에도 전해졌다.
백제의 경우 서울 가락동과 방이동 등에 돌방무덤이 남아 있는데, 모두 고구려식의 널길이 남벽의 동쪽, 또는 중앙에 딸린 돌방무덤 형식을 따르고 있다.
백제가 수도를 웅진으로 옮긴 이후에도 널길이 딸린 돌방무덤은 계속 만들어지는데, 처음에는 사각형의 합장묘였던 것이 직사각형으로 생긴 단장묘로 바뀌고 이것이 사비 시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백제가 사비로 수도를 옮긴 이후에는 널길이 더욱 넓어져 돌방의 나비와 거의 같아진다. 그리고 천장의 모를 죽여 짜만든 꺾임 천장 양식은 일본 고분과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의 유적으로는 부여 능산리 고분군이 있다.
가야 지역에서는 대부분 깬돌로 돌방무덤을 만들었으며, 널방과 널길을 가진 것이 특색이다. 이러한 무덤 형식은 가야 말기에 백제 무덤의 영향를 받아서 만들어진 것이다.
가야의 유적으로 보이는 돌방무덤이 고령·산청·진주 등에서 발견되었지만 그 수는 많지 않다. 신라 지역에서는 6세기경 고구려와 백제의 영향으로 굴식 돌방 무덤이 등장하여 통일 신라 시대까지 계속되었다.
양산 부부총·경주 쌍상총 등이 유명하다. 평면 사각형의 널방을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깬돌로 쌓아올리고 네 벽을 안쪽으로 기울게 만든 다음 천장석을 올려 놓았다. 널길은 남벽 동쪽에 치우쳐 있다.
이러한 돌방무덤은 통일 신라 시대 중기 이후 차츰 없어지기 시작하여 고려 시대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