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후기인
1774년에 펴낸 청어(淸語), 곧 만주어 독본.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목판본이다.
초간본은 전해지지 않고 있으며, 다시 펴낸 《중간삼역총해》만이 전해지고 있다. 검찰관 김진하·고사언이 초간본을 수정하여 서사관 장재성이 쓴 것이 《중간삼역총해》이다. 이 책은 만주의 문자인 만문 《삼국지》 가운데서 10회분을 가려 뽑아 만주어 음을 한글로 옮기어 적고, 거기에 대한 우리말 번역을 싣고 있다. 역관 등을 선발하는 과거 시험에서 청나라에 대한 내용을 다룬 청학에 대한 시험용 교재로 씌어진 것이다. 《중간삼역총해》에는 이담이 지은 《중간삼역총해서》가 있고, 초간과 중간의 간기가 붙어 있다. 이 간기로 초간본의 간행 경위가 밝혀지기도 한다.
청학에 대한 교재는 이미 1639년 인조 때부터 신계암에 의하여 마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계암은 《천자문》 등 여진 문자로 씌어졌을 14종의 여진학서 가운데에서 《거화》 《구난》 《팔세아》 《소아론》 《상서》 등 5종을 만주자로 바꾸어 개편하였던 것이다. 이 책들이 나온 1639년이면, 청나라에서도 아직 규범적인 표기법은 정착되지 못하였던 시기이다. 청나라에는 1632년에야 유권점 만주자가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청나라 순치 초년부터 만문은 표기법이 급속하게 정비되고 있었다. 이에 맞추어 우리 나라 청학서도 개편하지 않을 수 없었던 듯, 1680년 최후택·이집·이의백 등이 《삼역총해》 10권과 《청어노걸대》 8권을 새로 편찬하는 일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전부터 사용해 온 5종의 청학서 가운데서 《팔세아》 《소아론》 각 1권을 개정하였다. 이렇게 하여 1684년에는 새로운 청학서 4종 20권이 완성되었으며, 이미 과거용의 교재로 사용되고 있었다.
20권에 달하는 이 청학서들은 《
청어총해》라고도 한다. 필사본으로 전하여 오던 이들 청학서 《삼역총해》 10권, 《
청어노걸대》 8권, 《
팔세아》 1권, 《
소아론》 1권은 1703년에야 수정관 김세홍 등, 서사관 이세만 등에 의하여 판하본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박창유 등 6인이 비용을 모아 출판하였다. 「삼역총해 서」의 연기를 보면 이 책의 출판은 1704년에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4종 20권에 달하는 청학서들은 1765년 《청어노걸대》가 내용을 다듬어 새롭게 출간되고, 이어 《삼역총해》도 다시 출판되었다.
《삼역총해》의 근거가 된 책은 만문 《삼국지》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만문 《삼국지》는 1650년 청나라 사람 키충거〔祁充格〕가 칙령을 받들어 옮기고 펴내었으며, 24권으로 되어 있다. 현재 이 책은 우리 나라의 규장각 도서와 일본 고마자와〔駒澤〕 대학 도서관 아라아시(濯足) 문고에 완질본이 전한다. 그리고 대영 도서관에 권4가 사본으로 채워진 한 질이 전한다. 《재불 한국 관계 문헌 목록》(국회 도서관, 1969)에 10책 완질본이 전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어느 도서관에 있는지 확인할 수는 없다. 1956년 규장각본이 《팔세아》 《소아론》 《동문유해》와 합책되어 연세 대학교 동방학 연구소에서 영인, 출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