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9 ~ 1546] 조선 중종 때의 학자.
주기론(主氣論)의 선구자로, 호는 복재(復齋) 또는 화담(花潭)이고,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가세가 빈약하여 독학으로 공부를 하였고, 주로 산림에 은거하면서 문인을 양성하였으며, 과거에는 뜻을 두지 않았다.
조식(曺植)․
성운(成運) 등 당대의 처사(處士) 들과 지리산․속리산 등을 유람하면서 교유하였으며, 1544년 김안국(金安國)이 후릉참봉(厚陵參奉)에 천거하였으나 출사하지 않았다.
학문경향은 궁리(窮理)와 격치(格致)를 중시하였으며, 선유의 학설을 널리 흡수하고 자신의 견해는 간략히 개진하였다. 또한 주돈이(周敦)․소옹(邵雍)․장재(張載) 등 북송(北宋) 성리학자의 학문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단편 논저로는 <원리설(原理說)> <이기설(理氣說)> <태허설(太虛說)> <귀신사생론(鬼神死生論)> 등 네 편이 있는데, 이들 논저에는 '이(理)'보다는 '기(氣)'를 중시하는 주기철학의 입장이 정리되어 있다.
이기론(理氣論)의 본질을 연구하여 ‘이기 일원론’을 체계화하였다. 성품이 청렴하였고, 성리학, 도학, 수학, 역학 연구를 하면서 일생을 보냈다.
황진이․박연폭포와 함께 개성을 대표한
송도3절(松都三絶)로 지칭되기도 하며,
황진이의 유혹을 물리친 일화는 시조작품으로도 전해질 만큼 유명하다.
노장사상으로 대표되는 도가사상(道家思想)에도 관심을 보여 도가의 행적을 기록한 《해동이적(海東異蹟)》에는 그의 도가적인 성향이 소개되었다. 그의 학풍은 조선 전기의 사상계의 흐름이 주자성리학 일색만이 아니었던 분위기를 보여주며, 그의 문인들 중에서 양명학자나 노장사상에 경도된 인물이 나타나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한편, 북한에서는 그의 주기철학을 유물론의 원류로 평가하여 그의 철학을 높이 평가한다.
마음이 어린 후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긘가 하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