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유파의 하나. 주로 보성·광주·나주·강진·해남 등 전라도 서쪽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는 소리라 하여 서편제라 일컬어진다. 조선 철종 때의 명창
박유전(朴裕全)의 소리제를 이어 받아
이날치(李捺致),
정창업(丁昌業),
김창환(金昌煥),
정정렬(丁貞烈) 등으로 이어졌다.
이 소리제의 특징은 유연 애절(柔軟哀切), 즉 부드러우면서도 구성지고 슬픈 듯한 점이다. 그리고 비교적 계면조를 많이 쓰고 발성을 가볍게 하며 소리의 꼬리를 길게 늘려 불러, 활달하고도 우렁찬 동편제와 좋은 대조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