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에 음악의 유일한 지침이 된 악전(樂典). 1493년(성종 24년)에 왕명으로 성현(成俔), 유자광(柳子光), 신말평(申末平) 등이 엮은 9권 3책의 악규집(樂規集)이다.
이 책에는 「
동동」 「
정읍사」 「
처용가」 「
여민락」 「
봉황음」 「
북전」 「
문덕곡」 「
납씨가」 「
정동방곡」 등의 가사가 한글로 기록되어 실렸으며, 궁중 의식에서 연주하던 아악, 당악, 향악에 관한 여러 사항을 그림으로 풀어 설명하였으며, 그 밖에도 악기, 의상, 무대 장치 등의 제도, 무용 방법, 음악 이론 등이 자세히 적혀 있다.
가사의 내용이 주된 책이 《
악장가사》이고, 음악의 곡조를 위주로 한 것이 《
시용향악보》임에 대하여 이 책은 음악의 이론과 제도 및 법식을 주로 다루었다.
조선 시대의 음악 이론, 제도, 법식의 연구와 이해에 귀중한 문헌일 뿐만 아니라 고려악사(高麗樂史)를 아는 데도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악학궤범』의 목차
券1: 樂 理論 (악 이론)
음악이론과 용법을 다룬 것으로, ‘육십조(六十調)’로 시작된다. 즉 세조가 만든 궁(宮)ㆍ상(上) 1ㆍ상(上) 2의 기보법(記譜法)을 육십조의 각 율 밑에 달아서 그 조를 알기 쉽게 하였다. 다음에는 12음의 음고(音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악학궤범> 서문의 이른바 ‘율 만드는 원리’의 설명이 몇 가지 나온다. 다음으로 쇠ㆍ돌ㆍ실ㆍ대ㆍ박ㆍ흙ㆍ가죽ㆍ나무로 된 8음(音)의 악기와 추분(秋分)ㆍ입동(立冬)ㆍ하지(夏至)ㆍ춘분(春分)ㆍ입춘(立春)ㆍ입추(立秋)ㆍ동지(冬至)ㆍ입하(立夏)의 8절(節)과의 관계를 설명한 ‘8음도설(八音圖說)’이 있고, 끝으로 우리 음악의 7조 및 평조(平調) 또는 낙시조(樂時調)와 계면조(界面調)를 설명한 ‘악조총의(樂調總義)’, ‘오음배속호(五音配俗呼)’, ‘십이율배속호(十二律配俗呼)’가 있다.
券2: 雅樂陳說圖說 (아악진설도설)
맨 먼저 기록한 악기 배치도표는 제례(祭禮), 즉 사직(社稷)ㆍ문묘(文廟)ㆍ제향(祭享)에 아악을 연주할 때 쓰이는 것이며, 전정악기진설도표(殿庭樂器陳說圖表)는 궁중(宮中) 조하(朝賀) 때 쓰이는 것인데, 이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였다. 또 각 제향ㆍ하례 때의 의식 절차와 그에 사용되는 음악명이 기술되어 있다.
券3: 高麗史 樂志 內容 (고려사 악지 내용)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실려 있는 당악(唐樂) 정재(呈才)와 속악 춤 속악정재(俗樂呈才)의 <무고(舞鼓)> <동동(動動)> <무애>를 전재(轉載)하였다.
券4: 時用唐樂呈才圖說 (시용당악정재도설)
그 당시의 당악 정재 춤이 기술되어 있다. 정재 춤에 관한 기술은 <고려사> ‘악지’의 것보다 상세한 편이다.
券5: 時用鄕樂呈才圖說 (시용향악정재도설)
당시의 향악정재(鄕樂呈才) 춤이 기술되어 있으며, ‘악지(樂志)’에 나오는 <동동> <무고>를 수록하였는데, 특히 주목할 것은 고려사에는 <동동>과 <정읍(井邑)>의 가사가 실려 있지 않은데 이 책에는 그 가사가 실려 있다. 이것은 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券6: 雅部樂器圖說 (아부악기도설)
아부악기도설(雅部樂器圖說))을 하여 악기의 재료와 척수를 자세히 기록하였고, 악기의 연주법을 설명하였다.
券7: 唐部樂器圖說 (당부악기도설)
당악기(唐樂器) 13종과 향악기(鄕樂器) 7종을 도설(圖說)하였다. 이것은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귀중한 것이고, 현금(玄琴)의 설명만도 16면이나 되어 정확하다.
券8: 唐樂呈才儀物圖說 (당악정재의물도설)
정재(呈才) 춤에 사용되는 의물(儀物)이 그림으로 설명되었다.
券9: 冠服圖說 (관복도설)
관복(冠服), 즉 머리에 쓰는 복두에서부터 버선에 이르기까지 그림으로 설명하고, 세종 때 연회에 사용한 복식과 아름다운 여자 복식 등을 그림으로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