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수행법 가운데 한 가지로 부처의 상호(모습)를 마음으로 관찰하거나 관상하면서 그 이름을 외거나 공덕을 기리는 일. 불교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초보적이며, 보편적이기도 한 수행법으로 대개 아미타불이 수행의 목적으로 하는 소원에 따라 그의 이름을 부르면 반드시 서방 정토에 다시 태어나게 된다는 정토 신앙에 기초하여 입으로 아미타불 의 이름을 부르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아미타불뿐만 아니라 다른 부처의 이름을 부르는 것도 모두 염불이라고 하므로 염불은 우리 나라에서 비로자나불을 비롯하여 미륵존불 등 열 부처의 이름을 부르는 10념(十念)의 한 가지이기도 하다. 이 10념은 부처의 이름을 10번 부르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한편, 지눌은 우선 생각이나 말이나 행동으로 하지 말아야 할 모든 잘못된 일을 하지 않고, 어느 때든지 부처의 맑고 밝고 환한 마음을 본받아서 나의 마음도 그와 같도록 노력하여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여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경지인 삼매에 도달함으로써 부처의 원만한 깨달음에 도달한 마음이 되는 것이 염불이라고 정의하기도 하였다. 염불 수행의 궁극적인 목적은 염불을 행함으로써 번뇌를 떨쳐 버리고 열반에 들도록 하는 것이다. 염불은 분류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시간을 기준 으로는 삼시 염불과 별시 염불로 나눌 수 있는데, 삼시 염불은 새벽·낮·해질녘 등 하루에 3번 염불하는 것을 말하고, 별시 염불은 1일·3일·7일, 또는 14일·21일·100일 등 특별한 기간을 정하여서 불도를 닦는 곳에 들어가 염불하는 것을 말하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사찰에서 백일 기도·천일 기도·만일 염불 도량의 방식으로 행해진다. 둘째, 수행 방법을 기준으로 해서 나누면 칭명 염불· 관상(觀像) 염불· 실상 염불· 관상(觀想) 염불로 나눈다. 칭명 염불 은 부처의 이름을 입으로 부르는 염불이다. 이것은 다시 마음의 상태에 따라 산란한 마음으로 행하는 산심 염불 과 고요한 마음으로 행하는 정심 염불로 나누기도 하고 소리의 크기에 따라 대념 염불과 소념 염불로 나누며, 부르는 대상에 따라 한 부처의 이름만 부르는 정행 염불과 여러 부처의 이름을 같이 부르는 잡행 염불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관상(觀像) 염불은 한 부처의 불상을 한 마음으로 관찰 하고 생각하는 것인데, 이 염불을 행하면 죽은 다음에 그 부처의 극락 정토에 다시 태어날 수 있는 것으로 믿는다. 실상 염불은 원리와 법칙으로서의 부처를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을 말하며, 관상(觀想) 염불은 자세를 단정히 하고 한 마음으로 한 부처의 모습과 그 공덕을 생각하는 것으로, 이를 행하면 염불 삼매에 들어 부처를 볼 수 있게 되고, 이런 사람은 성불하는 데 장애가 되었던 죄악의 업이 소멸되어 극락에 왕생한다고 믿는다. 이 밖에 염불법의 종류로는 오회 염불법·즉심 염불법·사리쌍수 염불법·전수 염불법 등이 있다. 오회 염불법은 칭명 염불에 대한 염불법인데, 5음의 곡조에 따라 느리게 염불하다가 점점 급하게 염불하는 것을 말한다. 즉, 첫 번째 ' 나무 아미타불'을 부를 때는 평성으로 느리게 부르고, 두 번째는 평성과 상성으로 느리게 부르며, 세 번째는 중간 속도로 부르고, 네 번째는 점점 급하게 부르며 다섯 번째는 매우 급하게 부르므로 ' 아미타불 ' 넉 자만 부른다. 즉심 염불법은 선종의 '즉심즉불(卽心卽佛) 사상'에 기초한 것으로 내 몸이 곧 정토이고 내 마음이 바로 아미타불이라고 생각하여 자기 마음 속에 있는 부처에 대하여 염불하는 것을 말한다. 사리쌍수 염불은 이사(理事) 즉, 이치와 현상을 함께 닦는 염불로 '이'를 닦기 위하여 마음으로 불신을 생각하고 '사'를 닦기 위하여 입으로 부처의 이름을 부르는 염불법이다. 전수 염불법 역시 칭명 염불 에 대한 염불법인데, 오직 입으로 부처의 이름만 부르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염불할 때는 다음과 같은 3가지 기본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 첫째는 서방 정토 즉, 극락 세계가 있다는 것을 확실히 믿는 '신(信)'이고, 둘째는 괴로운 인간 속세를 떠나 극락세계에 다시 태어나기를 바라는 '원(願)'이며, 셋째는 부처를 마음에 모시고 ' 나무 아미타불'을 부르는 '행(行)'이다 염불할 때 가져야 할 마음가짐도 3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지극한 마음으로 몸과 마음을 다 바쳐서 부처를 믿고 의지하며 성실한 마음으로 극락 세계에 다시 태어나기를 바라는 지성심(至誠心)이고, 둘째는 부처가 중생을 교화하려고 세운 기원을 깊이 믿고 아미타불로 말미암아 괴로운 인간 세상에서 극락으로 인도 받기를 원하는 마음인 심심(深心)이며, 셋째는 자기가 이 세상에서 쌓은 공덕이 자기에게뿐만 아니라 모든 중생에게 미치기를 바라는 마음인 회향발원심(廻向發願心)이다. 이러한 태도와 마음가짐으로 염불을 하면 인격이 완성됨은 물론, 이 세상에 살 동안이나 저 세상으로 갈 때에 많은 복을 받게 된다고 한다. 즉, 이 세상에서는 우선 병이 없어지고 장수하게 되고 모든 불행한 일을 면하고 좋은 일들만 만나서 평안한 삶을 누릴 수 있으며, 죽은 후에는 아미타불의 인도로 서방 극락 세계에 들어가 부처를 만나고 영원한 기쁨을 누린다는 것이다. 정토교에서는 아미타불을 관찰하는 염불 을 중요한 수행법으로 여기고 있는데, 죄가 많아서 이러한 염불을 할 수 없는 사람에게는 부처의 이름을 부름으로써 극락 왕생하도록 권하였다. 다시 말하여 정토교에서의 염불은 관불과 칭명을 모두 뜻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정토교 의 고승인 선도는 칭명은 평범한 사람이 극락 정토에 다시 태어날 수 있는 바른 수행 방법이라고 하면서 둘 가운데서도 칭명을 더욱 중시하였다. 우리 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 염불 수행이 보편적으로 행해지게 된 것은 신라 시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원효는 극락 세계인 깨끗한 땅인 정토와 속세의 더러운 땅인 예토가 한 마음이라고 주장하면서 이해하기 어렵고 복잡한 교학보다는 알기 쉽고 행하기 쉬운 염불 수행법을 일반 민중에게 전함으로써 염불 수행법을 보편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 밖에 광덕이나 엄장 등과 같은 신라의 고승들은 《아미타경》이나 《무량수경》 등을 연구하여 염불 수행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세우면서 염불을 적극 권장하였다. 그 후 신라 시대 말기에는 지방 호족들의 도움으로 선종 이 새로이 세력을 얻었는데, 그들도 선(禪)을 수행할 수 없는 자에게는 염불을 하도록 권장하여 선 수행과 더불어 염불 수행을 받아들였다. 고려 시대에 들어오면서 지눌 이후에 '자성미 타유심 정토'에 기초하여 선과 염불을 조화시킨 것으로 염불선이라고도 하는 염불 수행이 성행하였으며, 염불은 곧 참선이라고 생각한 나옹에 이르러 정착되었다. 이러한 전통은 조선 시대에도 이어져 조선 시대 중기 이후의 승려들은 만행과 만덕을 닦아서 덕과를 장엄하게 하는 일인 화엄을 비롯하여 염불과 선을 모두 중시하였다. 조선 시대 후기에는 염불이 더욱 성행하여 많은 사찰에 염불당이 만들어지고 그 곳에서 염불회가 열렸다. 오늘날에도 우리 나라의 불교 는 선종이 이어져 오고 있어서 '자성미 타유심 정토'에 입각한 염불 수행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