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나 연대 등을 알 수 없는 판소리 계통의 고대 소설. 불교 설화를 주제로 한 풍자 소설이다.
판소리로 불려질 때는 '
옹고집 타령'이라고 한다.
조선 시대 영· 정조 때에 이루어진 것으로 짐작되는 이 작품은 김삼불(金三不) 소장의 국제 문화관판이 1950년에 간행되었다.
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옹정 옹연 옹진골 옹당촌이라는 고을에 옹고집이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옹고집은 성질이 사나울 뿐만 아니라 심술궂고 인색하였다. 옹고집이 얼마나 인색한가 하면, 한겨울에도 팔십이나 먹은 늙은 어머니가 쓰는 방에 땔감이 아까워 불을 때지 못하게 하여 늙은 어머니가 병이 났는데도 어머니를 간호하기는커녕 너무 오래 산다고 불평을 한다. 뿐만 아니라 거지가 구걸을 하러 오거나 중이 시주를 하라고 들르면 하인을 시켜서 매를 때리거나 골탕을 먹여 돌려보내곤 하였다.
이에 월출봉 비치암의 도승이 학 대사를 보내어 옹고집을 꾸짖어 잘못을 뉘우치게 하라고 한다. 그런데 학 대사도 다른 중과 마찬가지로 옹고집에게 매만 맞고 돌아간다.
이 소식을 듣고 화가 난 도승은 허수아비를 만들어 부적을 붙여 가짜 옹고집을 만들었다. 이렇게 하여 옹고집이 2명이 된 것이다. 가짜 옹고집은 바로 옹고집의 집으로 가서, 진짜 옹고집 행세를 한다. 진짜 옹고집의 집에는 별안간 난리가 난 것이다. 옹고집의 아내는 남편의 이마에 난 점으로 판가름을 내려 하였으나 둘 다 똑같은 곳에 점이 있지 않은가. 이번에는 며느리가 나서서 부엌의 숟가락 수를 물었으나 가짜 옹고집이 그 숫자를 더 잘 알고 있었다. 진짜 옹고집은 기가 막혔다. 궁리 끝에 진짜 옹고집은 원님에게 사실을 가려 달라기로 하고 고소를 한다. 원님은 관가에 나온 두 옹고집에게 이것저것 물었으나 너무 똑같아 난감하기만 하였다. 마침내 원님은 족보를 가져오라고 해서 조상에 대해 물으니, 가짜 옹고집이 진짜 옹고집보다 더 자세히 알고 있었다. 결국 진짜 옹고집은 가짜라는 판결을 받아 곤장까지 맞고 집에서 쫓겨나 거지 신세가 된다.
한편, 가짜 옹고집은 집으로 들어가서 아내와 자식을 거느리고 산다. 진짜 옹고집은 그제야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게 되지만, 이미 때가 늦은 것을 알고 목숨을 끊으려고 산으로 들어간다. 막 나무에 목을 매달으려는 순간, 도승이 나타나서 말린다. 그 도승은 바로 월출봉 비취암의 도승이었다.
도승은 옹고집이 진심으로 잘못을 뉘우친 것을 알고, 그 동안의 일에 대해 말한 다음 부적을 주며 집으로 돌아가라고 한다. 옹고집이 서둘러 집으로 돌아와 그 부적을 던지니, 그 동안 진짜처럼 행세하던 옹고집은 허수아비로 변한다. 그 뒤 옹고집은 새사람이 되어서 착한 일을 하고, 또한 독실한 불교 신자가 되었다는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