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월정사(月精寺)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월정사 (月精寺)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에 있는 절.
월정사 (月精寺)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에 있는 절. 신라 선덕여왕 때(643년) 당나라에서 돌아온 자장(慈藏) 율사가 문수 보살에게 불공드리기 위하여 암자를 지은 데서 비롯 조선시대 때는 세조가 친히 이절에 와서 불공을 드렸다고 한다. 세조가 스승으로 우대하던 신미(信眉)가 크게 증툭하였고 1605년(선조 38) 오대산에 사고를 둘 때, 지키게 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1856년(철종 7)에 고쳐 지은 것이다. 이 절에는 월정사 8각 9층 석탑, 석조 보살 좌상 등의 국보 및 보물급 문화재가 있으며, "오대산 상원사 중창권선문"을 소장하고 있다. 월정사 적멸보궁
◈ 지식지도 관계
월정사 (月精寺) 643 (寺) 31 본산 1461 간경 도감 (刊經都監) 교종 (敎宗) 불교 (佛敎) 한국 불교 종단 대한불교 조계종 화엄 십찰 (華嚴十刹) 강원도 (江原道) 오대산 (五臺山) 평창군 (平昌郡) 426 대흥사 (大興寺) 599 금산사 (金山寺) 범어사 (梵魚寺) 부석사 (浮石寺) 선운사 (禪雲寺) 송광사 (松廣寺) 수덕사 (修德寺) 쌍계사 (雙磎寺) 연곡사 (鷰谷寺) 정암사 (淨巖寺) 조계사 (曹溪寺) 통도사 (通度寺) 선암사 (仙巖寺) 쌍봉사 (雙峰寺) 672 봉정사 (鳳停寺) 681 고운사 (孤雲寺) 802 해인사 (海印寺) 1392 조선 (朝鮮) 643년 645년 1455 조선 세조 (世祖) 15c초 신미 (信眉) 자장 (慈藏) 1395 소헌 왕후 (昭憲王后) 1403 황보인 (皇甫仁) 1409 최항 (崔恒) 1410 강맹경 (姜孟卿) 1417 신숙주 (申叔舟) 1418 조선 세종 (世宗) 1418 안평 대군 이용 1441 구성군 이준 1452 조선 단종 (端宗) 사육신 (死六臣) 생육신 (生六臣) 수미 (守眉) 조계종 (曹溪宗) 수종사 (水鍾寺) 854 용주사 (龍珠寺) 세조실록 (世祖實錄) 월정사 석조보살 좌상 월정사 적멸보궁 월정사 팔각 구층 석탑 김룡사 건봉사 (乾鳳寺) 751 석굴암 석굴 969 봉선사 (奉先寺) (미정의) 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05. 월정사 숲길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8.08.03
02. 월정사 숲길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8.08.01
◈ 조회순
2024.10.11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한·일 청소년 간 문화유산 교류의 장 마련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관장 김경미)은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평창 오대산 월정사 등에서 한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2024년 해외 청소년 오대산사고 찾아가기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국립고궁박물관,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2016.10.31
가을에 걷기 좋은 사찰 길 (2016. 10. 31)
【여행】 북한산 단풍은 절정이라고 하는데 산에 가서 단풍보기 힘들 때 가까운 사찰에 가보면 어떨까? 다녀온 사찰중에서 가을에 걷기 좋은 사찰을 소개한다.
 
05. 월정사 숲길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8.08.03
02. 월정사 숲길
【풍경작가 김도형】
(0) | 2018.08.01
◈ 최근등록순
2024.10.11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한·일 청소년 간 문화유산 교류의 장 마련
【문화】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관장 김경미)은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평창 오대산 월정사 등에서 한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2024년 해외 청소년 오대산사고 찾아가기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국립고궁박물관,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2016.10.31
가을에 걷기 좋은 사찰 길 (2016. 10. 31)
【여행】 북한산 단풍은 절정이라고 하는데 산에 가서 단풍보기 힘들 때 가까운 사찰에 가보면 어떨까? 다녀온 사찰중에서 가을에 걷기 좋은 사찰을 소개한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참조 디렉터리
평창군 平昌郡 (1636)
◈ 주요 언급 키워드
평창군 (5) 백과 봉선사 (4) 백과 성불사 (4) 백과 오대산 (4) 백과 고운사 (3) 백과 대흥사 (3) 백과 마곡사 (3) 백과 백양사 (3) 백과 범어사 (3) 백과 법주사 (3) 백과 상원사 (3) 백과 선암사 (3) 백과 송광사 (3) 백과 용주사 (3) 백과 은해사 (3) 통도사 (3) 백과 해인사 (3) 백과 화엄사 (3) 백과 건봉사 (2) 백과 관음사 (2) 귀주사 (2) 백과 금산사 (2) 백과 기림사 (2) 백과 동화사 (2) 법흥사 (2) 백과 보석사 (2) 보현사 (2) 백과 봉은사 (2) 백과 불국사 (2) 백과 석왕사 (2) 백과 선운사 (2) 백과 수덕사 (2) 백과 신흥사 (2) 쌍계사 (2) 백과 영명사 (2) 위봉사 (2) 유점사 (2) 백과 전등사 (2) 백과 정선군 (2) 백과 정암사 수마노탑 (2) 백과 조계사 (2) 백과 조계종 (2) 백과 직지사 (2) 백과 패엽사 (2) 백과
◈ 참조 키워드
평창군 (4) 백과 오대산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