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회영(李會榮)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회영 (李會榮)
[1866 ~ 1932] 독립 운동가. 호는 우당(友黨)이며, 초대 부통령인 이시영의 형이다. 1908년 안창호, 이동녕 등과 함께 ‘청년 학우회’를 조직하여 독립 운동에 앞장섰다.
◈ 지식지도 관계
이회영 (李會榮) 1866 1835 이유승 (李裕承) 1913 이규창 (李圭昌) 1936 이종찬 (李鍾贊) 1957 이종걸 (李鍾杰) (미정의) 이건영 (미정의) 이철영 1868 이시영 (李始榮) 1855 이석영 (李石榮) 1875 이호영 (李護榮) 한국의 독립운동 독립운동가 건국훈장 (建國勳章) 1869 이동녕 (李東寧) 1878 안창호 (安昌浩) 1908 청년 학우회 건국 공로 훈장 1898 만민 공동회 1908년 1911년 1937년 1897년 1827 조병세 (趙秉世) 1833 최익현 (崔益鉉) 1841 박정양 (朴定陽) 1842 김홍집 (金弘集) 1850 이상재 (李商在) 1855 강우규 (姜宇奎) 1855 허위 (許蔿) 1858 이강년 (李康秊) 1858 이준 (李儁) 1861 민영환 (閔泳煥) 1861 손병희 (孫秉熙) 1864 이승훈 (李昇薰) 1865 윤치호 (尹致昊) 1866 서재필 (徐載弼) 1875 이승만 (李承晩) 1876 김구 (金九) 1879 김창숙 (金昌淑) 1879 안중근 (安重根) 1879 한용운 (韓龍雲) 1881 김규식 (金奎植) 1882 조만식 (曺晩植) 1884 해리 S. 트루먼 1885 여운형 (呂運亨) 1887 조소앙 (趙素昻) 1889 김좌진 (金佐鎭) 1892 신익희 (申翼熙) 1908 윤봉길 (尹奉吉) 1917 박정희 (朴正熙) 1919 최규하 (崔圭夏) 1931 전두환 (全斗煥) 1896 독립 협회 (獨立協會) 1906 서전 서숙 1906 신민회 (新民會) 1908 대성 학교 (大成學校) 1908 소년 (少年) 1910 경학사 (耕學社) 1913 흥사단 (興士團)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1876 강화도 조약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1919 3·1 운동 (三一運動) 1937 중·일 전쟁 (中日戰爭)
◈ 조회순
2025.06.07
【열하일기 2】11개국 항일투쟁가 2천명 수감...안중근 유해 발굴 노력했으나 못찾아
【문화】 다렌 뤼순 감옥 견학기 《열하일기》 답사 대원들이 중국 다렌국제공항에 내려 연암 박지원이 걸었던 사행길이 시작되는 곳인 단둥시로 가기 전에 제일 먼저 방문한 곳이 뤼순 감옥이다. 이 감옥은 일본 제국이 직접 운영하다 1932년부터는 일본 제국이 괴뢰국으로 세운 만주국에서 운영했다.
2019.05.01
【정치】 우당 이회영, 심산 김창숙, 단재 신채호 3人특별전 【이종걸 (국회의원)】
2020.06.23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여순 감옥에서 순국한 항일투쟁가를 만나다
2019.11.15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전 재산을 처분해 항일독립운동에 헌신하고 순국한 ‘우당 이회영 선생’을 기리는 순국 87주기 추모식이 16일(토) 오전 11시, 상동교회(서울 중구 남대문로)에서 (사)우당이회영선생기념사업회(회장 윤형섭)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표경애 (044-202-5537)】
2018.11.16
【--】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우당 이회영선생의 순국 86주기 추모식이 17일(토) 오전 11시 상동교회(중구 남대문로)에서 (사)우당이회영선생기념사업회(회장 홍일식)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김지숙 (044-202-5531)】
2018.08.13
【--】 ▶ 광복절계기(73주년) 독립유공자 177명 포상, 올해부터 독립유공자 포상 심사기준 개선해 177명 중 65명(36.7%)이 개선안으로 포상되어 여성,무명 의병 등 발굴·포상 사각지대 해소【공훈발굴과 - 강대원 (044-202-5456)】
2017.11.16
【--】 우당 이회영 선생 순국 85주기 추모식【기념사업과 - 이종윤 (044-202-5537)】
2017.04.20
【--】 우당 이회영 선생 탄신 150주년 기념식【기념사업과 - 이종윤 (044-202-5537)】
 
◈ 최근등록순
2025.06.07
【열하일기 2】11개국 항일투쟁가 2천명 수감...안중근 유해 발굴 노력했으나 못찾아
【문화】 다렌 뤼순 감옥 견학기 《열하일기》 답사 대원들이 중국 다렌국제공항에 내려 연암 박지원이 걸었던 사행길이 시작되는 곳인 단둥시로 가기 전에 제일 먼저 방문한 곳이 뤼순 감옥이다. 이 감옥은 일본 제국이 직접 운영하다 1932년부터는 일본 제국이 괴뢰국으로 세운 만주국에서 운영했다.
2020.06.23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여순 감옥에서 순국한 항일투쟁가를 만나다
2019.11.15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전 재산을 처분해 항일독립운동에 헌신하고 순국한 ‘우당 이회영 선생’을 기리는 순국 87주기 추모식이 16일(토) 오전 11시, 상동교회(서울 중구 남대문로)에서 (사)우당이회영선생기념사업회(회장 윤형섭)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표경애 (044-202-5537)】
2019.05.01
【정치】 우당 이회영, 심산 김창숙, 단재 신채호 3人특별전 【이종걸 (국회의원)】
2018.11.16
【--】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우당 이회영선생의 순국 86주기 추모식이 17일(토) 오전 11시 상동교회(중구 남대문로)에서 (사)우당이회영선생기념사업회(회장 홍일식)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김지숙 (044-202-5531)】
2018.08.13
【--】 ▶ 광복절계기(73주년) 독립유공자 177명 포상, 올해부터 독립유공자 포상 심사기준 개선해 177명 중 65명(36.7%)이 개선안으로 포상되어 여성,무명 의병 등 발굴·포상 사각지대 해소【공훈발굴과 - 강대원 (044-202-5456)】
2017.11.16
【--】 우당 이회영 선생 순국 85주기 추모식【기념사업과 - 이종윤 (044-202-5537)】
2017.04.20
【--】 우당 이회영 선생 탄신 150주년 기념식【기념사업과 - 이종윤 (044-202-5537)】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이시영 (6) 백과 국가 보훈처 (5) 백과 신채호 (3) 백과 신흥 무관 학교 (3) 백과 김구 (2) 백과 안중근 (2) 백과 양명학 (2) 백과 유희 (2) 백과 이동녕 (2) 백과 이승만 (2) 백과 이승훈 (2) 백과 이종걸 (2) 백과 정제두 (2) 백과
◈ 참조 키워드
신흥 무관 학교 (6) 백과 신채호 (3) 백과 경학사 (2) 백과 뤼순감옥 (2) 백과 안중근 (2) 백과 우당이회영선생기념사업회 (2) 추모식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