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불이 《화엄경》을 설법한 중인도 마가다국 가야성의 남쪽 보리수 아래의 적멸 도량을 뜻하는 전각이며, 불사리를 모심으로써 부처님이 항상 이 곳에서 번뇌를 떠나 낙을 누리고 있는 곳임을 상징하는 것이다. 따라서 진신인 사리를 모시고 있는 이 불전에는 따로 불상을 봉안하지 않고 불단만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불사리는 곧 법신불로서의 석가모니 진신이 이 곳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불상이 없는 대신 적멸 보궁의 바깥쪽에 사리탑을 세우거나 계단을 만들어 놓는 경우도 있다.
우리 나라에는 불사리를 모신 곳이 많지만 그 중 다음과 같은 곳에 대표적인 5대 적멸 보궁이 있다.
태백산
정암사의 적멸 보궁을 제외하고는 모두 신라 시대에
자장이 당나라에서 귀국할 때 가져온 불사리 및 정골을 직접 봉안한 것이며, 정암사의 보궁에 봉안된 사리는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왜적의 노략질을 피해서
통도사에 있는 것을 나누어 봉안하는 것이다.
5대 적멸 보궁 중에서 오대산의 것 외에는 사리를 안치한 위치가 분명하지만, 오대산의 보궁은 사리의 위치가 알려지지 않아 그 신비성을 더하고 있다. 이들 5대 적멸 보궁은 불교도의 순례지와 기도하는 곳으로서 가장 신봉되고 있는 성지이다.
이 밖에도 비슬산
용연사에도 사명대사가 통도사의 사리를 분장한 적멸 보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