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정약용(丁若鏞)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정약용 (丁若鏞)
[1762 ~ 1836] 조선 시대의 실학자, 문신. 호는 다산(茶山)이고,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주요 저서로는 《목민심서》《경세유표》 《흠흠신서》 등이 있다.
정약용 (丁若鏞) 실학 [1762 ~ 1836] 조선 시대의 실학자, 문신. 호는 다산(茶山), 시호는 문도(文度) 유형원, 이익을 거쳐 내려 온 실학 사상을 집대성 저서 : 《목민심서》《경세유표》 《흠흠신서
◈ 지식지도 관계
정약용 (丁若鏞) 1762 1786 정학유 (丁學游) 1760 정약종 (丁若鍾) 1758 정약전 (丁若銓) 실학 (實學) 1801 신유 박해 (辛酉迫害) 1818 다산학단 1591 남인 (南人) 고증학 (考證學) 벽파 (僻派) 북인 (北人) 성리학 (性理學) 로마 가톨릭교회 남양주시 (南楊州市) 1801년 1808년 1795년 1770년 1622 유형원 (柳馨遠) 1681 이익 (李瀷) 1552 한백겸 (韓百謙) 1559 유몽인 (柳夢寅) 1569 허균 (許筠) 1595 허목 (許穆) 1633 이서우 (李瑞雨) 1637 김만중 (金萬重) 1712 안정복 (安鼎福) 1713 이맹휴 (李孟休) 1724 영조 (英祖) 1736 권일신 (權日身) 1736 권철신 (權哲身) 1737 박지원 (朴趾源) 1742 이가환 (李家煥) 1745 정순 왕후 (貞純王后) 1749 유득공 (柳得恭) 1750 박제가 (朴齊家) 1752 주문모 (周文謨) 1756 이승훈 (李承薰) 1776 조선 정조 (正祖) 1786 김정희 (金正喜) 1800 순조 (純祖) 1814 김정호 (金正浩) 1838 이제마 (李濟馬) 1808 시경강의 (詩經講義) 1810 경세유표 (經世遺表) 1818 목민심서 (牧民心書) 1822 흠흠신서 (欽欽新書) 1670 반계수록 (磻溪隨錄) 1740 곽우록 (藿憂錄) 1760 성호사설 농가월령가 시경 (詩經) 영남인물고 자산어보
윤두서(尹斗緖) 유수원(柳壽垣) 김범우(金範禹) 차좌일(車佐一) 서용보(徐龍輔) 윤지충(尹持忠) 신작(申綽) 이학규(李學逵) 정학연(丁學淵) 을사 추조 적발 사건 초의 의순(草衣 意恂) 황상(黃裳) 을묘박해(乙卯迫害) 수원 화성(水原華城) 마과회통(痲科會通(麻)) 의령(醫零)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 대동수경(大東水經) 대한강역고(大韓疆域考) 1818년 1792년 다산 유적지 다산초당(茶山草堂) 북학(北學) 실학파(實學派) 종두(種痘) 기(氣) 용사론(用事論) 수종사(水鍾寺) 봉은사(奉恩寺) 논어(論語)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 다산 경학 사상 연구 맹자요의(孟子要義)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주역사전(周易四箋)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13 작품) [모두보기]
목민심서 牧民心書 인문/사회과학 정약용 (305) 수오재기 守吾齋記 고전 수필 정약용 (107) 타맥행 打麥行 한시 정약용(丁若鏞) (90) 기연아 寄淵兒 고전 수필 정약용(丁若鏞) (52) 애절양 哀絶陽 한시 다산 정약용 (41) 탐진 촌요 耽津村謠 한시 정약용 (22) 탐진 어가 耽津漁歌 한시 정약용 (16) 견여탄 肩輿歎 한시 정약용(丁若鏞) (15) 독소 獨笑 한시 다산 정약용 (5) 장기 농가 長鬐農歌 한시 정약용 (4) 탐진 농가 耽津農歌 한시 정약용 (4) 유세검정기 游洗劍亭記 고전 수필 다산 정약용 (4)
◈ 참조 원문/전문
◈ 조회순
2015.12.10
다산 정약용. - 4편 , 다산의 애절양- (2015. 12. 10)
【여행】 다산 문화관에 이어 오늘은 다산 기념관이다.
2015.12.08
다산 정약용. - 2편. 왜 많은 책을 썼나?-  (2015. 12. 8)
【여행】 KBS 역사채널 <그날> 정약용 편을 이미 올렸고, 오늘은 정약용의 생애와 무슨 목적으로 그 많은 503권을 책을 썼을까에 대해 알아본다.
2024.04.21
정약용 통해 과천과 용인 등 8개 고을에 7년간 1200만 그루 심어
【문화】 식목왕(植木王) 정조대왕 매년 봄이 시작되면 사람들은 나무를 심는다. 신라는 문무왕 17년(677) 음력 2월 25일(양 4월 5일)에 당나라 세력을 완전히 밀어내고 삼국통일을 이룩해, 이날을 기념하여 나무를 심었다.
2015.12.11
다산 정약용. - 5편, 정약용 묘와 사당을 둘러보고- (2015. 12. 11)
【여행】 지금까지 다산 정약용의 생애(1762~1836), 다산 기념관과 다산 문화관을 둘러보았다. 오늘은 무료 관람인 다산 유적지 중에서 정약용 동상, 사당인 문도사(文度祀), 뒷동산에 있는 정약용과 홍씨 부인의 합장묘에 대하여 포스팅한다.
2015.12.14
실학 박물관  (2015. 12. 14)
【여행】 수종사의 일출에서 시작한 이번 여행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다산 유적지에서 마무리 한다. 다산 유적지의 마지막 편은 옆에 있는 실학 박물관이다.
2015.12.13
다산 정약용. - 7편, 다산 문화거리와 농악 풍경- (2015. 12. 13)
【여행】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 유적지에 생가인 여유당, 생가 뒷동산의 다산과 부인의 합장묘, 사당인 문도사와 다산 문화관, 다산 기념관을 둘러보고 실학박물관으로 간다.
2015.12.12
다산 정약용. - 6편, 생가인 여유당과 주변의 풍경들 - (2015. 12. 12)
【여행】 다산 정약용의 생가인 여유당(與猶堂)을 포스팅한다.
2015.12.09
다산 정약용. - 3편. 다산 문화관에서 찾은 것-  (2015. 12. 9)
【여행】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1762~1836)에 대하여 동영상과 자료로 이미 알아 보았고, 오늘부터 경기도 남양주시(옛 지명 마현리馬峴里)에 있는 다산 유적지 입구부터 다산 문화관, 다산 기념관, 정약용 동상, 정약용 묘소와 사당인 문도사, 생가인 여유당과 실학박물관 농악놀이를 연속하여 올릴 계획이다.
 
◈ 최근등록순
2024.04.21
정약용 통해 과천과 용인 등 8개 고을에 7년간 1200만 그루 심어
【문화】 식목왕(植木王) 정조대왕 매년 봄이 시작되면 사람들은 나무를 심는다. 신라는 문무왕 17년(677) 음력 2월 25일(양 4월 5일)에 당나라 세력을 완전히 밀어내고 삼국통일을 이룩해, 이날을 기념하여 나무를 심었다.
2015.12.14
실학 박물관  (2015. 12. 14)
【여행】 수종사의 일출에서 시작한 이번 여행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다산 유적지에서 마무리 한다. 다산 유적지의 마지막 편은 옆에 있는 실학 박물관이다.
2015.12.13
다산 정약용. - 7편, 다산 문화거리와 농악 풍경- (2015. 12. 13)
【여행】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 유적지에 생가인 여유당, 생가 뒷동산의 다산과 부인의 합장묘, 사당인 문도사와 다산 문화관, 다산 기념관을 둘러보고 실학박물관으로 간다.
2015.12.12
다산 정약용. - 6편, 생가인 여유당과 주변의 풍경들 - (2015. 12. 12)
【여행】 다산 정약용의 생가인 여유당(與猶堂)을 포스팅한다.
2015.12.11
다산 정약용. - 5편, 정약용 묘와 사당을 둘러보고- (2015. 12. 11)
【여행】 지금까지 다산 정약용의 생애(1762~1836), 다산 기념관과 다산 문화관을 둘러보았다. 오늘은 무료 관람인 다산 유적지 중에서 정약용 동상, 사당인 문도사(文度祀), 뒷동산에 있는 정약용과 홍씨 부인의 합장묘에 대하여 포스팅한다.
2015.12.10
다산 정약용. - 4편 , 다산의 애절양- (2015. 12. 10)
【여행】 다산 문화관에 이어 오늘은 다산 기념관이다.
2015.12.09
다산 정약용. - 3편. 다산 문화관에서 찾은 것-  (2015. 12. 9)
【여행】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1762~1836)에 대하여 동영상과 자료로 이미 알아 보았고, 오늘부터 경기도 남양주시(옛 지명 마현리馬峴里)에 있는 다산 유적지 입구부터 다산 문화관, 다산 기념관, 정약용 동상, 정약용 묘소와 사당인 문도사, 생가인 여유당과 실학박물관 농악놀이를 연속하여 올릴 계획이다.
2015.12.08
다산 정약용. - 2편. 왜 많은 책을 썼나?-  (2015. 12. 8)
【여행】 KBS 역사채널 <그날> 정약용 편을 이미 올렸고, 오늘은 정약용의 생애와 무슨 목적으로 그 많은 503권을 책을 썼을까에 대해 알아본다.
2015.12.07
다산 정약용. - 1편, 역사채널 그날 - (2015. 12. 7)
【여행】 11월 남양주시 수종사(水鐘寺)와 운길산(雲吉山)에서 내려와 동행인과 두부전골로 점심을 먹었다. 식사 후 강을 따라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년∼1836년. 75세) 유적지로 가서 정약용 문학관, 정약용 기념관, 정약용 생가와 묘, 그리고 실학박물관 주최의 신명 나는 농악놀이를 관람했다. 마지막으로 천주교 소화 묘원 높은 곳에서 팔당호를 보고 마무리했다. 그래서 오늘부터 다산 정약용은 누구인지와 유적지에 대해 알아본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한시 (9) 백과 김정희 (7) 백과 유형원 (7) 백과 1801년 (5) 백과 박제가 (5) 백과 박지원 (5) 백과 여유당전서 (5) 백과 이익 (5) 백과 1795년 (4) 백과 1804년 (4) 백과 남양주시 (4) 백과 목민심서 (4) 백과 경세유표 (3) 백과 김정호 (3) 백과 논어집해 (3) 백과 마과회통 (3) 백과 순조 (3) 백과 신유 박해 (3) 백과 정선 (3) 백과 조선 정조 (3) 백과 하안 (3) 백과 황상 (3) 백과 1785년 (2) 백과 1791년 (2) 백과 1794년 (2) 백과 1796년 (2) 백과 1798년 (2) 백과 1814년 (2) 백과 고대 수필 (2) 백과 공자 (2) 백과 김만중 (2) 백과 농가월령가 (2) 백과 다산학단 (2) 백과 동인 (2) 백과 명종 (2) 백과 봉선사 (2) 백과 북학파 (2) 백과 사서 삼경 (2) 백과 서거정 (2) 백과 성리학 (2) 백과 시경 (2) 백과 신해 박해 (2) 백과 실학 (2) 백과 심사정 (2) 백과 아방강역고 (2) 백과 운길산 (2) 백과 유교 경전 (2) 백과 유득공 (2) 백과 유몽인 (2) 백과 (2) 백과 이승훈 (2) 백과 이제마 (2) 백과 (2) 백과 정제두 (2) 백과 정학연 (2) 백과 정학유 (2) 백과 조선 중종 (2) 백과 주문모 (2) 백과 천주교 박해 (2) 백과 한백겸 (2) 백과 허균 (2) 백과 흠흠신서 (2) 백과
◈ 참조 키워드
남양주시 (8) 백과 다산 유적지 (8) 백과 이승훈 (6) 백과 강진군 (4) 백과 여유당전서 (4) 백과 조선 정조 (3) 백과 수원 화성 (2) 백과 실학박물관 (2) 흠흠신서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