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정학유(丁學游)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정학유 (丁學游)
[1786 ~ 1855] 조선 헌종 때의 문인. 호는 운포(耘逋)이며, 다산 정약용의 둘째 아들이다. 《농가월령가》의 작자로 알려져 있다.
정학유 (丁學游) [? ~ ?] 조선 헌종 때의 문인. 호는 운포(耘逋) 다산 정약용의 둘째 아들 농가월령가》의 작자로 알려져 있다.
◈ 지식지도 관계
정학유 (丁學游) 1786 가사 (歌辭) 실학 (實學) 1801 신유 박해 (辛酉迫害) 1818 다산학단 남양주시 (南楊州市) 1762 정약용 (丁若鏞) 1788 황상 (黃裳) 1573 고상안 (高尙顔) 1622 유형원 (柳馨遠) 1681 이익 (李瀷) 1750 박제가 (朴齊家) 1758 정약전 (丁若銓) 1760 정약종 (丁若鍾) 1764 서유구 (徐有榘) 1769 신위 (申緯) 1770 이학규 (李學逵) 1783 남상교 (南尙敎) 1786 김정희 (金正喜) 박장암 (朴長馣) 1786 홍길주 (洪吉周) 농가월령가 1808 시경강의 (詩經講義) 1810 경세유표 (經世遺表) 1818 목민심서 (牧民心書) 1822 흠흠신서 (欽欽新書) 1783 정학연 (丁學淵)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조회순
2019.07.17
【학습】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1책. 필사본. 월령체(月令體) 장편가사이다. 작자가 고상안(高尙顔)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정학유로 고증되었다. 필사 이본으로는 권경호본(權卿鎬本, 1876)·이탁본(李鐸本)·정규영본(丁奎英本, 1925)·안춘근본(安春根本)·이능우본(李能雨本) 등이 전하고 있다.
 
 
◈ 최근등록순
2019.07.17
【학습】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1책. 필사본. 월령체(月令體) 장편가사이다. 작자가 고상안(高尙顔)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정학유로 고증되었다. 필사 이본으로는 권경호본(權卿鎬本, 1876)·이탁본(李鐸本)·정규영본(丁奎英本, 1925)·안춘근본(安春根本)·이능우본(李能雨本) 등이 전하고 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정약용 (4) 백과 가사 (2) 백과 김정희 (2) 백과 다산학단 (2) 백과 실학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다산 정약용의 아들.
형제 : 정학연
목록 참조
【전문】농가월령가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