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말기의 문학가였던
이곡(1298~1351)이 지은 가전체 소설. 이곡의 호는 가정이었으며, 고려말의 대학자였던
이색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이곡은 훌륭한 문장을 많이 쓰던 매우 뛰어난 문학가였는데, 대나무를 의인화한 소설 《죽부인전》을 지었다.
《죽부인전》은 한문 으로 쓰여져 있다. 《죽부인전》은 대나무를 의인화하여 절개 높은 부인에 비유하였는데, 이 작품을 통하여 퇴폐해지고 문란해진 당시 사회의 풍속에 경종을 가하고자 하였다.
내용을 보면 이름이 빙(憑)인 죽부인은 매우 정숙한 여인이었는데, 위빈에 사는 은사인 운의 딸이었다. 이웃 사내들이 빙을 유혹하였으나 빙은 절개를 지키고 있다가 드디어 사대부인 송대부와 예를 갖추고 혼인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남편은 죽부인과 같이 살지 않고 전국을 유람하기 위하여 곧 집을 떠나버린다. 남편이 신선처럼 떠나버리자 죽부인은 매우 외로웠으나 다른 사내들의 유혹을 물리치고 절개를 지키면서 정숙하게 살아가다가 일생을 마친다는 내용이다.
당시 고려 말은 나라의 운세가 기울면서 사회가 불안정해져서 퇴폐 풍조가 만연하였으며, 남녀 관계의 성 풍습도 매우 문란해졌다. 이에 저자인 이곡은 《죽부인전》이라는 소설을 써서 죽부인 의 굳은 절개를 강조하여 고려 말의 문란해진 성 풍습에 경종을 가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 작품을 통하여 새로 부상하고 있는 신흥 유학자들의 청고한 이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 작품은 특히 가전체 의인 소설이라는 점에서 국문학사적으로 큰 가치를 가지는 작품이다. 《죽부인전》은 이곡의 문집인 《
가정집》에도 전하며 조선 시대
서거정 의 문집인 《
동문선》에도 전한다.
중국의 문학에서도 죽부인 을 의인화한 작품이 있었는데, 송나라 때에는 장뢰가 죽제구를 의인화하여 《죽부인전》을 지었으며, 원나라 때에도 양유정이란 자가 역시 죽제구를 의인화하여 《죽부인전》을 지었다.
따라서 중국 문학과 우리 나라 문학에서 공통적으로 죽부인 을 의인화한 문학 작품이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