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최원(崔源)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최원 (崔源)
[? ~ 1378] 고려 시대의 문신. 본관은 해주이다. 일명 최경이다. 최원의 아버지는 동지밀직사사를 지내고, 아첨으로서 임금의 사랑을 받던 신하 최안도이며, 형은 공민왕에게 반역한 최유(?~1364)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최원 (崔源) 1328 1361년 1364년 1352년 1359년 1316 최영 (崔瑩) 1314 최유 (崔濡) 1312 안우 (安祐) 1302 조일신 (趙日新) 1294 최안도 (崔安道) 14c초 기철 (奇轍) 14C초 김용 (金鏞) 1392 조선 태조 (太祖) 조인규 (趙仁規) 기황후 (奇皇后) 덕흥군 (德興君) 1322 안우경 (安遇慶) 1321 신돈 (辛旽) 1313 정세운 (鄭世雲) 1312 이방실 (李芳實) 1312 김득배 (金得培) 1287 이제현 (李齊賢) 1287 조위 (趙瑋) 1275 충선왕 (忠宣王) 1909 최도통전 1388 위화도 회군 1364 최유의 난 1359 홍건적의 침공 1352 조일신의 난 1339 조적의 난
▣ 백과사전
[? ~ 1378] 고려 시대의 문신. 본관은 해주이다. 일명 최경이다. 최원의 아버지는 동지밀직사사를 지내고, 아첨으로서 임금의 사랑을 받던 신하 최안도이며, 형은 공민왕에게 반역한 최유(?~1364)이다.
 
최원은 아버지의 덕으로 어려서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1349년(충정왕 1) 좌대언·개성윤 등을 거쳐 판도판서를 지냈다. 1352년(공민왕 1)에는 왜구가 쳐들어와 교동 갑산창을 불태웠다. 이 때 최원이 왜구를 무찌르고 배 2척을 빼앗아 왔다. 그는 이 공으로 진력협모 공신이 되었으며, 밀직부사의 자리에 올랐다. 그 해, 국권을 한손에 쥐고 충신들을 제거하는 한편, 왕을 위협하여 우정승의 자리에 오른 조일신(?~1352)이 난을 일으키자, 최원은 안우· 최영 등과 함께 이 난을 평정함으로써 왕의 총애를 받았다. 그러나 이를 시기하던 재상 김보가 없는 일을 거짓으로 꾸며 최원을 고발하여 잠시 순군옥에 갇힌 후 광양감무로 밀려났다. 한편, 중국에서는 원나라 말기에 장사성(1321~1367)이라는 사람이 군사를 일으켰다. 이에 1354년 원나라에서는 장사성을 쳐 없애기 위하여 고려에 구원병을 청해 왔다. 이 때 최원은 용성군에 봉해진 뒤 출정하여 원나라의 고우성· 사주 등지에서 싸우고 돌아왔다. 우왕이 즉위하자, 최원은 판종부시사로서 명나라 사신으로 가 공민왕의 죽음을 알리고, 공민왕의 시호와 그 뒤를 이어 우왕을 제후로 봉하여 줄 것을 청하였다가 3년간 그 곳에 억류되었다. 1378년(우왕 4) 6월에 풀려나 고려로 돌아왔는데, 같은 해 9월 사헌부에서 최원이 사신으로서의 임무를 소홀히 하였다고 탄핵하였다. 그리하여 그를 옥에 가두고 국문하던 중 죽었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1364년 (3) 백과 기황후 (2) 백과 덕흥군 (2) 백과 조적의 난 (2) 백과 최안도 (2) 백과 최유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부 : 최안도
형제 : 최유, 최원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