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15] 고려 시대의 무신.
최질은 1010년(현종 1) 정5품의 무관 벼슬인 중랑장을 지내면서
김훈·
양규 등과 함께 여러 차례에 걸쳐
거란의 침입을 막아 공을 세웠다. 정부에서는 이 때의 거란 침입 이후 이에 대비하고자 군사의 수를 늘렸다. 따라서 벼슬아치들이 받던 녹봉이 줄어들게 되었다. 그런데 1014년 중추원 일직을 지내던
황보 유의와 중추원사
장연우가 함께 왕에게 건의하여, 서울의 각 영문에 딸린 군사들의 영업전을 빼앗아 녹봉에 보태게 하였다. 이로 인하여 무신들의 불만이 많았다.
최질은 이군과 육위의 으뜸가는 장수로서 정3품 벼슬인 상장군으로 있으면서 문관직을 얻지 못하여 불만이 높던 중 이에 격분하였다. 그리하여 거란의 침입 때 함께 공을 세운 무신 김훈과 함께 군사를 선동하여 궁궐로 뛰어들어가 무신의 영업전을 빼앗은 황보 유의와 장연우 등을 잡아 귀양 보내고, 왕을 위협하여 무신들이 문관직을 겸하게 하는 등 정권을 잡았다. 그리하여 나라는 무신 천하가 되고 기강이 문란하여졌다.
이에 1015년 서경유수판관을 지내던
왕가도(?~1034)는 왕의 명으로 자신의 집으로 군신을 초청하여 주연을 베풀었다. 그리고는 술에 취한 틈을 타서 최질을 비롯하여 김훈·이협·최가정·석방현 등 일당 19명을 죽이고 무신 정권의 폐를 없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