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패관 문학(稗官文學)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패관 문학 (稗官文學)
민간에 떠도는 이야기나 소문 등을주제로 한 문학. 특정한 문학 형식을 가리킨 용어가 아니라 고려 시대에 새로운 산문 형식으로 등장한 이인로의 《파한집》이나, 이제현의 《역옹패설》 등이 패관 문학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내용보기]  
패관 문학 (稗官文學) 민간에 떠도는 이야기나 소문 등을 주제로 한 문학. 특정한 문학 형식을 가리킨 용어가 아니라 고려 시대에 새로운 산문 형식으로 등장한 이인로의 《파한집》이나, 이제현의 《역옹패설》 등 이 패관 문학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패관이란 옛 중국에서 임금이 민간의 풍속이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들을 모아 기록하게 했던 벼슬 이름 이제현의 《역옹패설》, 이인로의 《파한집》을 비롯하여 백운소설》, 《보한집》 등이 대표적인 작품
◈ 지식지도 관계
패관 문학 (稗官文學) 설화 문학 (說話文學) 한국 문학 (韓國文學) 가사 문학 (歌辭文學) 가전체 문학 개화기 문학 경향 문학 (傾向文學) 계급주의 문학 고전 문학 (古典文學) 구비 문학 (口碑文學) 국문학 (國文學) 국문학사 (國文學史) 국어 국문학 낭만주의 문학 동반자 문학 문학 (文學) 민족주의 문학 불교 문학 설화 (說話) 성리학 (性理學) 신문학 (新文學) 아동 문학 (兒童文學) 여류 문학 (女流文學) 전쟁 문학 (戰爭文學) 절충주의 문학 한문학 (漢文學) 죽림고회 (竹林高會) 1301년 1260년 1152 이인로 (李仁老) 1287 이제현 (李齊賢) 각훈 (覺訓) 임춘 (林椿) 1046 박인량 (朴寅亮) 1154 경대승 (慶大升) 1168 이규보 (李奎報) 1247 백이정 (白頤正) 1254 조맹부 (趙孟頫) 1262 권부 (權溥) 1328 이색 (李穡) 1314 만권당 (萬卷堂) 백운소설 (白雲小說) 1254 보한집 (補閑集) 1260 파한집 (破閑集) 1342 역옹패설 (櫟翁稗說) 동국이상국집 수이전 (殊異傳) 익재난고 (益齋亂藁) 시화총림 (詩話叢林)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구운몽, 김만중의 사모곡 [KBS 역사스페셜]
[역사 > 한국역사]     (0)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이인로 (5) 백과 최자 (5) 백과 파한집 (5) 백과 이제현 (4) 백과 이규보 (3) 백과 고전 문학 (2) 백과 문학 (2) 백과 보한집 (2) 백과 설화 문학 (2) 백과 시화총림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전체 의견 0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