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은 삼국 시대에 활약했던 승려들의 열전을 모아 놓은 책으로, 고려 고종 2년(1215)에 오관산(五冠山) 영통사(靈通寺)의 주지이던
각훈(覺訓)이 편찬한 현존하는 책 가운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승려 전기이다.
《해동고승전》은 《
삼국사기》, 《
삼국유사》와 더불어 삼국시대의 역사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훗날 일연은 《삼국유사》를 지으면서 《해동고승전》의 내용을 많이 참고하였다.
오랜 세월 동안 《해동고승전》은 소실된 자료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20세기 초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의 한 불탑에서 일부가 발견되면서 존재가 세상에 알려졌다. 10권 이상으로 알려진 《해동고승전》은 현재 2권만이 전해지고 있다. 여기에는 순도(順道)를 비롯한 18인의 전기가 들어 있다. 책머리에는 석보(釋譜: 고타마 붓다의 계보)와 불교의 동방 전래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
수이전》에 실렸던 설화 『아도전』·『원광법사전』이 여기에 실려서 전해지고 있다.
《해동고승전》의 현존판에는 책머리에는 석보(釋譜)와 불교의 동방 전래를 기록하였으며, 다음 인물의 일대기가 수록되어 있다. (원본 순서)
2. 이름이 알려지지 않음(亡名) (고구려)
2.1. 해동불교의 전래
2.2. 대각국사의 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