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1 ~ 1674] 조선의 제18대 왕(재위 1659~1674년). 이름은 연이고, 효종의 아들이다. (-> 숙종)
병자호란 뒤에 아버지인 봉림 대군(효종)이 볼모로 가 있던 선양[瀋陽]에서 태어났다.
1644년(인조 22년)에 돌아와서 봉림 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1659년에 왕위에 올랐으나 남인과 서인의 당파 싸움으로 정치를 제대로 펴지 못하였다.
그런 중에도 두만강 일대에 침입하는 여진족을 몰아 내고, 전라도 지방에 대동법을 실시하였으며, 국방을 위하여 훈련별대를 창설하는 등 공적을 남겼다.
능은 양주에 있는 숭릉(崇陵)이다.
■ 즉위 이전
→ 1641 효종과 인선왕후 사이에서 출생
→ 1649 효종 즉위
→ 1659 효종 승하
■ 즉위 이후
→ 1659 현종 즉위
→ 1659 기해예송 - 전례 문제로 서인과 남인의 대립
→ 1666 현종은 청 사신에게 포로 문제로 조사를 받고, 청나라에 벌금을 냄
→ 1673 민신대복 사건 - 사대부가의 상례 문제
→ 1674 갑인예송 - 전례 문제로 서인과 남인의 대립
→ 1674 승하
3정승
• 정태화 (영의정), 심지원 (좌의정), 원두표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심지원 (좌의정), 정유성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심지원 (좌의정), 원두표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원두표 (좌의정), 정유성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원두표 (좌의정), 홍명하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홍명하 (좌의정), 허적 (우의정)
• 홍명하 (영의정), 허적 (좌의정), 정치화 (우의정)
• 홍명하 (영의정), - (좌의정), 정치화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 (좌의정), 정치화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정치화 (좌의정), 송시열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허적 (좌의정), 송시열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허적 (좌의정), 홍중보 (우의정)
• 허적 (영의정), 정치화 (좌의정), 송시열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송시열 (좌의정), 김수항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김수항 (좌의정), 이경억 (우의정)
• 정태화 (영의정), 이경억 (좌의정), 김수흥 (우의정)
• - (영의정), 이경억 (좌의정), 김수흥 (우의정)
• 허적 (영의정), 송시열 (좌의정), 김수흥 (우의정)
• 허적 (영의정), - (좌의정), 김수흥 (우의정)
• 김수흥 (영의정), 정지화 (좌의정), 이완 (우의정)
• 허적 (영의정), 김수항 (좌의정), 정지화 (우의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