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훈민정음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이다.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은 그때까지 사용되던 한자가 우리말과 구조가 다른 중국어의 표기를 위한 문자체계이기 때문에 많은 백성들이 배워 사용할 수 없는 사실을 안타까워하여 세종 25년(1443)에 우리말의 표기에 적합한 문자체계를 완성하고 "훈민정음"이라 명명하였다.
|
|
▣ 참조 유튜브 (최근등록순)
- 하위디렉터리 포함
|
|
역사 > 한국역사
|
2020.05.25
|
|
|
KBS역사저널 그날
|
49:25 |
조선의 청년 간송 전형필. 한평생을 우리 문화유산에 바치다!
|
|
|
홍보
|
2019.12.06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2:50 |
2019 문화유산채널 영상공모전 은상 수상작-중고생부문
|
|
|
여행 > 국내여행
|
2019.10.01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5:46 |
말하고, 듣고, 쓰기도 하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5.15
|
|
|
KBS역사저널 그날
|
4:29 |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배우기 쉬운 글자다. 외국인 유학생들도 한글을 쉽게 익힐 수 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5.15
|
|
|
KBS역사저널 그날
|
4:10 |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기 전에는 이두(吏讀)가 우리말을 표현하는데 사용됐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5.15
|
|
|
KBS역사저널 그날
|
3:37 |
훈민정음(訓民正音) 해례본에는 문자를 만든 취지, 제자원리, 훈민정음의 특징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5.09
|
|
|
KBS역사저널 그날
|
4:58 |
서울대학교 규장각에는 특수목재로 제작된 책장 안에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이 보관돼 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2.14
|
|
|
KBS역사저널 그날
|
2:48 |
간송 전형필이 수집한 문화유산은 문화적 가치 이상의 의미를 지닌 보물들이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2.11
|
|
|
KBS역사저널 그날
|
1:08 |
1926년 음력 9월 29일, 조선어연구회 학자들이 서울에 모였다. 이들은 훈민정음 반포 480년을 맞아 가갸날을 만들었다.
|
|
|
한국문화
|
2018.12.16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11:30 |
한글 가사에 자신만의 메시지를 담아 노래하는 래퍼 딘딘에게 무엇보다 소중한 문화유산은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제70호)이다.
|
|
|
예고
|
2017.12.27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1:21 |
한글 가사에 자신만의 메시지를 담아 노래하는 래퍼 딘딘에게 무엇보다 소중한 문화유산은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제70호)이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7.12.14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4:30 |
한글창제 과학적 원리에 따르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7.10.26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4:37 |
훈민정음은 왕의 명령으로 정인지 등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세종 28년(1446)에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7.10.16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4:19 |
한글창제 과학적 원리에 따르다(Korean)
|
|
|
역사 > 한국역사
|
2017.10.16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7:42 |
훈민정음해례본(Korean)
|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참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