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인빈 김씨(仁嬪 金氏)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인빈 김씨 (仁嬪 金氏)
[1555 ~ 1613] 조선의 제14대 왕 선조의 후궁이다. 추존왕 원종(정원군)의 생모이자 인조의 할머니이기도 하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인빈 김씨 (仁嬪 金氏) 1555 1627 정묘호란 (丁卯胡亂) 1602 소북파 (小北派) 1575 서인 (西人) 가사 문학 (歌辭文學) 북인 (北人) 한국 문학 (韓國文學) 대북파 (大北派) 1627년 16c중 김공량 (金公諒) 16c중 김한우 (金漢佑) 1623 인조 (仁祖) 1608 광해군 (光海君) 1580 원종 (元宗) 1567 선조 (宣祖) 1553 공빈 김씨 1539 이산해 (李山海) 1536 정철 (鄭澈) 1619 봉림 대군 (鳳林大君) 1612 소현 세자 (昭顯世子) 1607 송시열 (宋時烈) 1606 송준길 (宋浚吉) 1606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00 정양 (鄭瀁) 1587 윤선도 (尹善道)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574 임해군 (臨海君) 1570 김상헌 (金尙憲) 1561 박인로 (朴仁老) 1561 이덕형 (李德馨) 1557 이귀 (李貴) 1556 이항복 (李恒福) 1555 의인왕후 (懿仁王后) 1547 이원익 (李元翼) 1545 명종 (明宗) 1545 이순신 (李舜臣) 1542 류성룡 (柳成籠) 1536 이이 (李珥) 1535 성혼 (成渾) 1535 정인홍 (鄭仁弘) 1533 윤두수 (尹斗壽) 1526 정탁 (鄭琢) 1517 이지함 (李之菡) 1513 유희춘 (柳希春) 1501 이황 (李滉) 1501 조식 (曺植) 1588 사미인곡 (思美人曲) 1580 훈민가 (訓民歌) 송강가사 (松江歌辭) 인조실록 (仁祖實錄) 1636 병자호란 (丙子胡亂) 1624 이괄의 난 (李适--亂)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1613 계축옥사 (癸丑獄事)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미정의) 신성군 (미정의) 의안군 (미정의) 의창군 (미정의) 정숙옹주 (미정의) 정신옹주 (미정의) 정안옹주 (미정의) 정혜옹주 (미정의) 정휘옹주
▣ 백과사전
[1555 ~ 1613] 조선의 제14대 왕 선조의 후궁이다. 추존왕 원종(정원군)의 생모이자 인조의 할머니이기도 하다.
 
본관은 수원. 1555년(명종 10년)에 전생서주부(典牲署主薄)를 지낸 김한우(金漢佑)의 딸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이효성(李孝性)의 딸 전주 이씨이다. 그녀의 외조부인 이효성은 왕실의 일원으로, 효령대군의 아들인 보성군의 증손자이다. 또 그녀의 언니가 신경과 결혼하여 낳은 딸은 광해군의 후궁으로 책봉된 숙원 신씨이다.
 
외사촌언니이자 명종의 후궁이었던 숙의 이씨가 김씨를 데려다가 궁중에서 양육했는데, 명종의 왕비인 인순왕후의 눈에 들어 그녀의 심부름을 하게 되었다. 그러다 훗날 인순왕후가 선조에게 후궁으로 추천하여 1573년(선조 6년) 종4품 숙원(淑媛)에 책봉되었다. 이후 정3품 소용(昭容), 종2품 숙의(淑儀), 종1품 귀인(貴人)을 거쳐 1604년(선조 37년) 음력 11월 12일 정1품 인빈(仁嬪)에 책봉되었다.
 
그녀는 광해군의 생모이자 선조의 후궁이었던 공빈 김씨와 평소에 사이가 좋지 않았다. 공빈 김씨가 산후병으로 죽자 선조의 총애가 모두 인빈에게 옮겨가게 되었으며, 또 이때를 틈타 그녀의 아우인 김공량(金公諒)이산해 부자와 결탁하여 광해군의 세자 책봉 문제를 건의한 정철 등을 유배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그러자 선조의 광해군에 대한 총애도 점차 사그라들었다. 그러나 광해군이 세자이던 시절에는 선조의 미움을 받던 광해군을 변호하기도 하였고, 임해군의 옥사가 있을 때에는 그녀의 소생들이 정사 공신에 책록되기도 하였다. 그로 인해 광해군은 ‘내가 서모(庶母)의 은혜를 받아서 오늘이 있게 된 것이니, 그 의리를 감히 잊지 못한다.’라고 까지 하였다.
 
1613년(광해군 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9일) 59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광해군은 조회를 3일간 정지하라고 명하였으나 사헌부에서 "인빈은 후궁일 따름이니, 법에 조회를 중지하는 예가 없었고, 예에도 역시 근거가 없습니다. 사사로운 은혜로 예법을 폐할 수는 없습니다,"라고 반대하여 무마되었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장사지냈으며, 1755년(영조 31년), 앞서 영조가 격상한 숙빈 최씨(영조의 생모)와 격을 맞추어 경혜(敬惠)라는 두 글자 시호를 증시하고, 묘(墓)도 원(園)으로 격상하여 순강원(順康園)으로 올렸으며, 사당 역시 방(房)에서 궁(宮)으로 격상하여 저경궁(儲慶宮)으로 궁호를 올렸다. 동시, 그녀가 입궁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촌 언니 숙의 이씨도 경빈(慶嬪)에 추증되었다.
 
1908년에 왕의 사친이었던 여러 후궁들의 신주를 모두 육상궁으로 옮기며 그녀의 신주 역시 육상궁으로 옮겨졌다.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 칠궁(七宮)에 그 위패가 모셔져 있다. 1991년 10월 25일, 그녀의 묘인 순강원이 사적 제356호로 지정되었다[8].
 
남편 선조와의 사이에서 4남 5녀를 낳았으며, 그 중 정원군(원종)의 장남 능양군이 반정을 일으켜 왕이 되니 그가 곧 인조이다. 인조가 왕위에 오른 후 그녀의 아버지 김한우는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광해군 (4) 백과 선조 (3) 백과 임진왜란 (3) 백과 정철 (3) 백과 1591년 (2) 백과 김공량 (2) 백과 명종 (2) 백과 윤두수 (2) 백과 이산해 (2) 백과 이순신 (2) 백과 이이 (2) 백과 이황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