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월
5일,
조병옥(趙炳玉) 민주당 대통령 후보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서 죽음(25. 국민장).
28일, 대구에서 반독재 학생데모 일어남.
3월
15일, 제5대 정˙부통령 선거 실시.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기붕 당선. (
3·15부정선거)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 데모. (
마산 3·15 의거)
4월
6일, 민주당·민총·공명선거위원회 등 3개단체가 합동, 3·15부정선거 규탄 데모.
11일, 피살된
김주열(金朱烈)의 시체 인양 계기로 제2마산 데모 발생.
18일, 고려대학생 데모대, 정치깡패의 기습으로 부상.
19일, 서울시내 2만여 학생 총궐기,
4·19혁명 발발.
경무대 어귀에서 경찰 발포로 42명 희생. 서울 등 5개도시에 비상계엄령 선포.
21일, 국무위원 일괄사표.
24일,
이승만 대통령, 자유당 총재직 사퇴. 이기붕(李起鵬) 국회의장, 모든 공직에서 사퇴 발표.
26일, 데모군중 증가. 상오 10시경 10만에 달함. 이승만, 대통령 하야 성명.
27일, 대통령권한대행에
허정(許政) 외무장관.
28일,
이기붕 일가 자살. 조용순(趙容淳) 대법원장 사표.
5월
1일, 허정 과도내각 성립(3·15선거 무효확인).
21일, 내각책임제 개헌안 공고 (6.15. 국회 통과˙공포.
제2공화국 성립됨).
29일, 이승만, 하와이로 망명.
17일, 곽상훈(郭尙勳) 국회의장, 새 헌법에 의거, 대통령권한을 대행.
7월
29일, 민·참의원선거 실시(민주당 대승).
8월
8일, 국회 양원 개원(참의원 의장 白樂濬, 민의원 의장 郭尙勳).
12일, 민˙참 합동회의, 제2공화국 대통령에
윤보선(尹潽善) 선출.
14일, 북한 김일성, 남˙북 연방제 제의.
동양
1월 19일, 미국·일본, 신안전보장조약·행정협정에 조인(6월 23일에 발효).
4월, 중국에서 소련의 평화공존정책에 대한 비판 일어, 양국 대립이 격화.
7월 16일, 소련이 중국에 대한 기술원조 중단을 통고.
19일, 일본에서 이케다[池田]내각 성립.
9월 10일, 라오스 내전 본격화됨.
10월 12일, 일본 사회당의 아사누마[淺沼] 위원장, 괴한에게 자살(刺殺)당함.
12월 20일, 남베트남에서 민족해방전선(베트콩) 결성.
세계
1월 19일, 미국·일본 신안보조약에 조인.
22일, 프랑스 대통령이 알제 지구사령관 마쉬를 해임, 반정부 시위 일어나(23~24일) 계엄령을 선포.
13일, 프랑스가 제1회 원폭실험(사하라사막).
3월 21일, 남아프리카에서 대폭동 야기.
5월 1일, 소련이 영공 침범한 미국 U2기의 격추 사실을 발표.
9월 2일, 쿠바 인민대회에서 '아바나선언'을 채택. 중국과의 국교 수립 및 타이완측과 단교, 미국과의 국교 수립 및 군사조약 파기 등 단행.
7월 6일, 콩고에서 동란 발발, 유엔 안보리가 유엔군 파견 결의.
9월 14일, 모푸트가 정권을 장악.
9월 12일, 동독 국가평의회 설립, 의장에 울브리히트를 선출.
10월 14일, 쿠바가 기간산업 국유화법 제정, 382개 대기업·금융기관 등을 국유화.
11월 20일, 세계 81개국 공산당·노동자당 대표자회의(모스크바) 후 '모스크바선언' 발표.
11월 8일, J.F.케네디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
12월 14일, 유엔총회에서 '식민지해방선언' 채택.
아프리카의 마다카스가르·콩고 등 17개국이 독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