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1929 ~ 1986]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경력이 있는 군인 출신으로 1954년 독도의용수비대를 조직하여 독도를 지키는 활약을 하였다.
|
|
▣ 백과사전
|
|
|
[1929 ~ 1986]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경력이 있는 군인 출신으로 1954년 독도의용수비대를 조직하여 독도를 지키는 활약을 하였다.
국방경비대에 입대하여 군인이 된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해 함경남도 원산 근처에서 부상을 입고 1952년 7월 특무상사로 전역하였다.
그는 1952년 가을부터 부산에서 무기 등에 장비를 구입한 뒤, 1953년 4월 20일 경기관총 2정, M2 3정, M1소총 10정, 권총 2정, 수류탄 50발, 0.5t 보트 1척 등의 장비를 사비로 마련하고, 한국 전쟁 참전 경력이 있는 군 출신을 모아 15명으로 구성된 전투대 2조, 울릉도 보급 연락요원 3명, 예비대 5명, 보급선 선원 5명 등 모두 45명으로 구성된 독도의용수비대를 조직하였다고 자신의 수기에서 주장하였다. 그러나, 1966년 독도의용수비대원 11명이 훈장을 받을때 작성된 공적조서에는 창설시기가 1954년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수비대 일부 대원의 병적기록에 따르면 1953년에 군에서 전역하지 않은 것으로 나온다. 조선일보는 1954년 5월 3일 "울릉도 1만5천 도민(島民)은 독도자위대를 결성해서 한국의 영토인 독도를 결사 방위하기로 4월 25일 결의하였다"고 보도하면서, 독도자위대 결성을 주도했던 민의원 후보 이정윤이 그해 5월 20일 제3대 민의원 선거를 앞두고 빠지면서 홍순칠이 독도자위대의 대장이 됐다고 전했다. 또, 1954년 5월 6일 조선일보에서는 "5월 3일 백두진 총리가 백한성 내무부 장관에게 울릉도 도민의 독도자위대를 적극 후원하라고 지시하였다."라고 보도하였다. 홍순칠은 수비대 창설 전부터 부산 국제시장에서 무기를 구입했다고 주장했지만, 당시 백두진 총리의 지시에 따라 울릉경찰서가 독도자위대에 총기와 탄약을 지급하고 울릉군은 구휼미로 식량을 지원했다. 이 같은 내용은 당시 독도의용수비대에게 탄약과 보급품을 전달했던 울릉경찰서 경찰관 다수가 증언하고 있다.
홍순칠은 수기에서 1953년 6월 독도로 접근하는 일본 수산고등학교 실습선을 귀향 조치하는 한편 7월 23일 독도 해상에 나타난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 PS9함을 발견하고 처음으로 총격전을 벌여 격퇴시켰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1955년 대한민국 내무부가 발행한 '독도문제개론'에 따르면 해쿠라호를 격퇴시킨 것은 울릉경찰서 소속의 독도순라반이었다. 독도문제개론은 "1953년 7월 11일 오전 11시 울릉경찰서 근무 순찰주임 경위 김진성, 경사 최헌식, 순경 최용득 3명으로 구성된 경기 2문으로 장비된 순라반"이 해쿠라호를 격퇴시켰다고 밝히고 있고, 이러한 사실은 사진과 함께 일본 잡지에도 실렸다.
홍순칠은 또 1953년 8월 5일 동도(東島) 바위 벽에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밝히는 '韓國領(한국령)' 석 자를 새겨 넣었다고 주장하였으나, 독도 영토 표석 건립은 1953년 9월 24일 대한민국 외무부가 건립을 요청하고 내무부 장관이 경상북도지사에게 측량표 설치를 지시한 공문에 따라 1954년 8월 28일 경비초사와 영토표석을 건립하고 제막 기념식까지 개최하였다.
1966년 독도 수호에 공적을 인정받아 5등 근무공로훈장을 수여하였다. 1985년 폐암을 치료하기 위해 서울로 이사한 뒤에도 잡지 "학부모"에 독도에 대한 연재를 해오다 1986년 2월 7일에 사망했다. 저서로는 잡지에 연재한 1997년 수기 《이 땅이 뉘 땅인데》가 있다.
1996년 보국훈장 삼일장이 추서되었다. 1996년 "자랑스러운 한국인상"에 수상되었다.
피해
독도의용수비대장 홍순칠은 중앙정보부에 끌려갔다.[4] 1974년 12월의 일이었다. 홍 대장의 미망인 박영희씨는 1974년 12월 남편이 중앙정보부에 끌려가 사흘 간 붙잡혀 있으면서 "'앞으로 독도에 대해 언급하지 마라'고 강요받기도 했다."고 밝혔다.
2005년 열린우리당 전병헌 의원 등이 특별법을 제정하여 국가유공자로 지정해주었다. 또한 홍순칠을 비롯한 독도의용수비대의 다른 유공자들은 국립묘지에 묻힐 수도 있고 지원금도 타게 되었다.
|
◈ 조회순
|
|
2024.10.03
|
|
|
【문화】
제17회 동해왕 이사부 항로탐사 (11)- 독도의용수비대의 생명수 물골
독도의용수비대가 독도를 수호하면서 힘든 것은 물을 구하고 땔감을 구하는 일이었다. 땔감은 울릉도에서 운송했다. 물은 독도의 서도 물골에 있어 이곳에서 식수를 해결했다. 1954년에 주둔지를 동도 정상으로 옮겨와 물골에서 물을 길어 정상으로 오르는 것은 엄청난 고생이었다. 그러나 바다 날씨가 나빠지면 이마저 힘들어 포기했다.
|
|
|
|
2024.09.24
|
|
|
【문화】
제17회 동해왕 이사부 항로탐사 (7) - 독도의용수비대
2024년은 매우 뜻깊은 해이다. 독도등대가 개설된 지 70주년을 맞이하였고, 국립경찰이 상주하면서 영토를 수호(守護)한 지 70주년이 되는 기념비적인 해이다. 국립경찰이 독도에 들어가 영토를 수호하기 전에 울릉도 주민들이 앞장을 서서 대한민국의 영토 독도를 자주 침범하는 일본의 순시선을 막기 위하여 1953년 4월 20일에 독도에 상륙하였다.
|
|
|
|
2024.10.14
|
|
|
【문화】
제17회 동해왕 이사부 항로탐사 (13) - 독도의용수비대와 비둘기 1
독도의용수비대 홍순칠(1929~1986) 대장은 독도의용수비대가 해산되고 나서 대원들을 모아 ‘독도의용수비대 동지회’를 결성했다. 그는 독도개발계획을 세우고, ‘푸른 독도 가꾸기회’ 를 설립하는데 앞장을 섰다.
|
|
|
|
2024.09.30
|
|
|
【문화】
홍순칠 독도의용수비대 대장과 대원들은 삼사호(선주 이필영, 선장 정이관)를 타고 독도를 항해 밤 12시경에 울릉도를 출항하여 다음 날 아침 독도 서도 물골에 상륙했다. 대원들은 야전용 대형 천막을 설치해 지휘본부를 설치하고 국기 게양대에 자랑스러운 태극기를 올렸다.
|
|
|
◈ 최근등록순
|
|
2024.10.14
|
|
|
【문화】
제17회 동해왕 이사부 항로탐사 (13) - 독도의용수비대와 비둘기 1
독도의용수비대 홍순칠(1929~1986) 대장은 독도의용수비대가 해산되고 나서 대원들을 모아 ‘독도의용수비대 동지회’를 결성했다. 그는 독도개발계획을 세우고, ‘푸른 독도 가꾸기회’ 를 설립하는데 앞장을 섰다.
|
|
|
|
2024.10.03
|
|
|
【문화】
제17회 동해왕 이사부 항로탐사 (11)- 독도의용수비대의 생명수 물골
독도의용수비대가 독도를 수호하면서 힘든 것은 물을 구하고 땔감을 구하는 일이었다. 땔감은 울릉도에서 운송했다. 물은 독도의 서도 물골에 있어 이곳에서 식수를 해결했다. 1954년에 주둔지를 동도 정상으로 옮겨와 물골에서 물을 길어 정상으로 오르는 것은 엄청난 고생이었다. 그러나 바다 날씨가 나빠지면 이마저 힘들어 포기했다.
|
|
|
|
2024.09.30
|
|
|
【문화】
홍순칠 독도의용수비대 대장과 대원들은 삼사호(선주 이필영, 선장 정이관)를 타고 독도를 항해 밤 12시경에 울릉도를 출항하여 다음 날 아침 독도 서도 물골에 상륙했다. 대원들은 야전용 대형 천막을 설치해 지휘본부를 설치하고 국기 게양대에 자랑스러운 태극기를 올렸다.
|
|
|
|
2024.09.24
|
|
|
【문화】
제17회 동해왕 이사부 항로탐사 (7) - 독도의용수비대
2024년은 매우 뜻깊은 해이다. 독도등대가 개설된 지 70주년을 맞이하였고, 국립경찰이 상주하면서 영토를 수호(守護)한 지 70주년이 되는 기념비적인 해이다. 국립경찰이 독도에 들어가 영토를 수호하기 전에 울릉도 주민들이 앞장을 서서 대한민국의 영토 독도를 자주 침범하는 일본의 순시선을 막기 위하여 1953년 4월 20일에 독도에 상륙하였다.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 지식지도 |
▷ 원문/전문 (없음) |
▷ 시민 참여 콘텐츠 |
▷ 관련 동영상 (없음) |
|
▣ 참조정보
없 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