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조병화(趙炳華)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조병화 (趙炳華)
[1921 ~ 2003]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조병화 (趙炳華) 1921 1953 아시아 자유 문학상 문학상 (文學賞) 1922 김춘수 (金春洙) 1921 유주현 (柳周鉉) 1920 조지훈 (趙芝薰) 1918 한무숙 (韓戊淑) 1917 박목월 (朴木月) 1916 오영진 (吳泳鎭) 1916 박두진 (朴斗鎭) 1915 황순원 (黃順元) 1915 서정주 (徐廷柱) 1914 김이석 (金利錫) 1914 오영수 (吳永壽) 1913 김동리 (金東里) 1912 김용호 (金容浩) 1911 박영준 (朴榮濬) 1908 유치환 (柳致環) 1905 마해송 (馬海松) 1900 김동명 (金東鳴) 1897 염상섭 (廉想涉)
▣ 백과사전
[1921 ~ 2003]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본관은 한양(漢陽)이고 아호(雅號)는 편운(片雲)이며 경기도 안성에서 출생하였다. 경성사범학교를 거쳐 일본 도쿄 고등사범학교 물리화학과를 졸업하였다. 광복 후 경성사범학교, 제물포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의 교사를 지냈다.
 
1949년 시집 《버리고 싶은 유산》으로 문단에 등장하였다. 그는 도회인의 애상을 평이한 수법으로 노래하여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1955년 중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등을 거쳐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장, 세계시인대회장, 세계시인대회 대한민국 국제 이사장, 대한민국 예술원 회장,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한국시인협회 명예 계관시인,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등을 지냈다.
 
1959년 아시아 자유문학상을 비롯하여 국민훈장 동백장, 모란장, 서울시 문화상, 3·1 문화상, 예술원상, 대한민국 문학상, 금관 문화훈장 등을 받았다.
 
시집으로 《하루만의 위안》, 《인간고도》, 《밤의 이야기》, 《시간의 숙소를 더음어서》, 《공존의 이유》, 《남남》 등이 있다.
 
2003년 3월 8일 별세했다. 향년 83세.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현대시와 본질 근/현대 수필 박인환 (8) 조병화의 시 근/현대 수필 박인환 (4)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문학평론 (2) 박인환 (2) 백과 평론 (2) 백과
◈ 참조 키워드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연결】조병화문학관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