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4 ~ 882]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로 혜은(慧隱)의 법을 이어 사자산문의 개조 도윤(道允)의 마지막 대가 되었다. 문하에 양부와 계휘가 있었다.
호는 도헌(道憲), 속성은 김씨이다. 9세 때 아버지가 죽자 출가하려 했으나 어머니가 너무 어리다 하여 허락하지 않았다. 그 뒤 부석사 범체(梵體)에게 배우고, 840년(문성왕 2) 경의(瓊儀)에게 구족계를 받았으며 혜은(慧隱)의 법을 이어 사자산문의 개조 도윤(道允)의 마지막 대가 되었다.
계람산 수석사에 머물면서 경문왕의 초빙을 여러 차례 거절하였고, 864년(경문왕 4)에는 현계산 안락사로 옮겨 교화활동을 하였다. 뒤에 희양산에 절을 지었는데 881년(헌강왕 7) 봉암사라는 사액을 받았다.
882년(헌강왕 8) 나이 59세, 법랍 42세로 입적했다. 헌강왕은 지증대사라는 시호를 내렸다. 탑호는 적조이며,
지증대사적조탑(보물 137)과 최치원이 비명을 지은
지증대사적조탑비(보물 138)가
봉암사에 남아 있다. 문하에 양부와 계휘가 있었으며, 양부는 법을 이어 구산선문의 하나를 세웠다. 희양산문은 양부의 제자인 긍양(兢讓)이
봉암사를 재건한 후 크게 발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