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6년 2월 8일 훗날의 대한민국에서 결성된 우익 계열의 범정당 정치 단체이다. 약칭하여 독립촉성국민회, 독촉국민회, 독촉, 국민회, 대촉국 등으로도 불린다.
이승만 계열인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김구 계열의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중앙위원회가 신탁통치 반대 운동이라는 공통 분모 하에 통합 결성한 것이다.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에 가장 많은 수의 후보자를 입후보시켜 전체 의석의 27.5%인 55석을 확보함으로써 무소속 다음으로 많은 당선자를 내었다.
제헌국회 총선에서 정파 연합 성격의 독촉국민회는 정식 정당이 아니었기 때문에 뚜렷한 정강·정책을 내세우지 않았고 후보들이 개인 자격으로 출마하기로 했으나, 실제 선거에서는 반탁 운동으로 쌓은 우익 진영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이승만의 후광을 얻기 위해 소속을 밝히는 경우가 많았다.
당초 독촉국민회에 참가했던
김구와
김규식 등 남북협상파는 제헌국회 총선에 불참하였다. 이후 독촉국민회는 제헌국회에서 제헌헌법을 제정하고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선출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이후 제헌국회에서 당선된 대부분의 의원이 탈당하게 되고 의원직을 유지한 독촉국민회 소속 의원은 1대국회에서 4명만 남게 된다. 독촉국민회 출신 의원 중 약 21%인 12명은
민주국민당으로 당적을 옮기고 곧이어 12명이
일민구락부로 당적을 옮겼다. 일민구락부는 당초 독촉국민회에서 이적한 의원들이 상당수 있었으나 그들 중 상당수가
대한국민당으로 당적을 옮기면서 독촉국민회 출신 의원들이 12명만 남게된다. 독촉국민회 의원들이 가장 많이 당적을 옮긴 곳은 대한국민당으로 총 45%인 25명의 의원들이 이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