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5 ~ 1645] 조선의 문신이다. 자는 천장(天章), 호는 백주(白洲), 본관은 연안이다. 부친은 좌의정을 지낸 월사
이정귀이며 모친은 예조판서
권극지의 딸 안동 권씨이다
1616년(광해군 8년)에 대과에 급제하여 승문관정자·성균관전적·공조좌랑 등을 지냈다. 인조가 즉위하자 명문의 자제라 하여 경연 시독관이 되었고,
이괄의 난 때는 왕을 모시고 공주로 피란하였다. 1645년 명나라와 몰래 서신 교환을 했다 하여 청나라에 잡혀 갔다가 돌아온 후, 예조판서를 지냈다.
그는 인품이 온유하고 성리학에 밝았으며 시와 글씨에 재능이 있었다고 한다.
이명한의 인품을 전하는 한 일화가 있다. 병자호란 당시 모친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갔는데 섬이 적에게 넘어가고 말았다. 때마침 한양에서 서로 안면을 익힌 한 사대부가 자신의 식솔들을 데리고 배에 올라 섬을 빠져나가는 광경을 목격했다. 이명한은 자신은 죽어도 좋지만 늙은 노모를 모시고 가달라고 애원했지만 보기좋게 외면당하고 말았다. 난리가 끝난 뒤 친척들이 이 사실을 알고 그 몰인정한 작자가 누구인지 물었다. 그러나, 이명한은 그 사람의 이름을 잊어버렸다며 의외의 대답을 내놓았다.
병자호란 때, 화의를 반대했다가 선양까지 잡혀갔던 울분을 노래한 시조 6수가 전한다.
저서로 《백주집》이 있다.
아버지
이정귀와 자신 그리고 큰아들
이일상이 나란히 대제학이 되어 조선 최조의 3대 문형이라는 큰 업적을 남겼다. 이명한의 후손들은 수많은 정승판서를 배출하며 조선 제 1의 명문가로 거듭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