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
교주가곡집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교주가곡집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
역대 가곡(歌曲)의 사설을 집대성한 총서. 일본인 마에마(前間恭作)가 편찬. 1951년 국고총서(國故叢書) 3으로 출간된 이 가곡집은 전집(前集) 8권과 후집(後集) 9권으로 구성됐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 시민참여콘텐츠
◈ 인기순 (1 ~ 4 위)
2019.07.16
규원가(閨怨歌)
【학습】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원부사(怨夫詞, 怨婦詞)’ 또는 ‘원부가(怨婦歌)’라고도 한다. ≪고금가곡 古今歌曲≫과 ≪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에 실려 전한다.
2019.07.16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가사육종 歌詞六種≫·≪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 등에 실려 있다.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모두 100행이다. 인생이 덧없이 늙어가나 인간의 힘으로는 결코 늙음을 막을 수 없으므로, 욕망에 따라 마음껏 현실을 즐기자는 것이 주제이다.
2019.07.16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총 120구. 엄격한 4·4조의 형식을 갖춘 사대부 가사이다. 내용은 부귀영화를 멀리하고 강호연월(江湖煙月)에 소요하며 이럭저럭 지내겠노라고 하는 강호에서의 한가로운 생활을 노래한 것이다.
2019.07.16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작품은 전체 51구로 되었으며, 3·4조 또는 4·4조의 형식이 주를 이루나 2·3조도 드물지 않다. ≪청구영언≫(大學本)과 가집 ≪잡가≫·≪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 등에 수록되어 있다.
◈ 등록순
2019.07.16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가사육종 歌詞六種≫·≪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 등에 실려 있다.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모두 100행이다. 인생이 덧없이 늙어가나 인간의 힘으로는 결코 늙음을 막을 수 없으므로, 욕망에 따라 마음껏 현실을 즐기자는 것이 주제이다.
2019.07.16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작품은 전체 51구로 되었으며, 3·4조 또는 4·4조의 형식이 주를 이루나 2·3조도 드물지 않다. ≪청구영언≫(大學本)과 가집 ≪잡가≫·≪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 등에 수록되어 있다.
2019.07.16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총 120구. 엄격한 4·4조의 형식을 갖춘 사대부 가사이다. 내용은 부귀영화를 멀리하고 강호연월(江湖煙月)에 소요하며 이럭저럭 지내겠노라고 하는 강호에서의 한가로운 생활을 노래한 것이다.
2019.07.16
규원가(閨怨歌)
【학습】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원부사(怨夫詞, 怨婦詞)’ 또는 ‘원부가(怨婦歌)’라고도 한다. ≪고금가곡 古今歌曲≫과 ≪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에 실려 전한다.
2019.06.25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국한문혼용으로 ≪정선조선가곡 精選朝鮮歌曲≫과 ≪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에 전한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가사 (4) 청구영언 (4) 백과 가사 (2) 백과 고금가곡 (2) 백과 내방 가사 (2) 백과 십이가사 (2) 백과
▣ 백과사전
역대 가곡(歌曲)의 사설을 집대성한 총서. 일본인 마에마(前間恭作)가 편찬. 1951년 국고총서(國故叢書) 3으로 출간된 이 가곡집은 전집(前集) 8권과 후집(後集) 9권으로 구성됐다.
 
《청구영언(青丘永言)》 · 《해동가요(海東歌謠)》 · 《고금가곡(古今歌曲)》 · 《남훈태평가(南薰太平歌)》 · 《가사육종(歌詞六種)》 · 《여창가요록(女娼歌謠錄)》 · 《가곡원류(歌曲源流)》 《가요(歌謠)》 · 《정선조선가곡(精選朝鮮歌曲)》 · 《시조류취 (時調類聚)》 등 10종의 가집을 합하여 시조 1745수, 가사 37편. 잡가 7년, 도합 1789수를 수록하였다. 전 · 후집을 통하여 유전편(流傳篇)과 작가편으로 나누고. 유전편은 곡조에 따라 분류, 배열하였으며, 작가편은 작가명과 간단한 약전을 든 다음에 그 작품에 해당되는 곡조명을 표사하고 기록하였다.
 

 
〈전집〉
권1: 우조중대엽(羽調中大葉)·후정화(後庭花)·우조장삭대엽(羽調長數大葉)·우조중거삭대엽(羽調中擧數大葉)·우조평거(羽調平擧)삭대엽·우조두거(羽調頭擧)삭대엽 등;
권2: 계면두거삭대엽(界面頭擧數大葉)·계면이수대엽(界面二數大葉)·계면삼수대엽(界面三數大葉);
권3: 우롱·얼롱(旕弄)·계롱(界弄)·우락·얼락(旕樂)·계락;
권4: 편수대엽·편락·평지름·잡가 "백구사"(白鷗詞)·가사(歌詞) "춘면곡"(春眠曲) 등;
권5: 이현보(李賢輔)의 "어부사"(漁父詞)·상진(尙震)의 "감군은"(感君恩)·이황(李滉)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주세붕(周世鵬)의 "죽계별곡"(竹溪別曲)·이후백(李後白)의 "소상팔경"(瀟湘八景) 등;
권6: 정철(鄭澈)의 "훈민가"(訓民歌)·"장진주사"(將進酒辭)·"관동별곡"(關東別曲)·사미인곡(思美人曲) 등;
권7: 차천로(車天輅)의 "강촌별곡"(江村別曲) 및 김현성(金玄成)·서익(徐益)·정구(鄭逑)·이항복(李恒福)·이덕형(李德馨)·이정구(李廷龜) 등의 시조, 그리고 윤선도(尹善道)의 "오우가"(五友歌)·"어부사시사"(漁夫四時詞) 등;
권8: 정두경(鄭斗卿)·강백년(姜栢年)·송시열(宋時烈) 등의 시조, 권익융(權益隆)의 "풍아별곡"(風雅別曲), 소백주(小栢舟)·매화(梅花)·송이(松伊) 등의 시조.
 
〈후집〉
권1: 우조중대엽·후정화·우조초수대엽·우조중거삭대엽·우조평거삭대엽 등;
권2: 계면삼수대엽·소용·우롱·얼롱;
권3: 계롱·우락·얼락·계락;
권4: 편수대엽·편락·"권주가"(勸酒歌)·"파연곡"(罷宴曲)·평지름·사설지름·잡가 "소춘향가"(小春香歌)·"죽지사"(竹枝詞)·"수양산가"(首陽山歌) 등;
권5: 가사 "관등가"(觀燈歌)·"화류가"(花柳歌)·"규수상사곡"(閨秀相思曲)·"과부가"(寡婦歌)·"봉황곡"(鳳凰曲)·"황계사"(黃鷄詞) 등;
권6: 가사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옥루연가"(玉樓宴歌)·"귀거래사"(歸去來辭)·"양양가"(襄陽歌);
권7: 숙종대왕(肅宗大王)·윤두서(尹斗緖)·윤유(尹游)·장붕익(張鵬翼)·이정보(李鼎輔)·김유기(金裕器)·김성기(金聖器) 등의 시조, 김민순(金敏淳)의 팔랑가(八郎歌);
권8: 신광수(申光洙)의 등악양루탄관산융마(登岳陽樓歎關山戎馬), 이정진(李廷鎭)·오경화(吳擎華)·신희문(申喜文) 등의 시조, 김수장(金壽長)의 봉하친경친잠(奉賀親耕親蠶);
권9: 김천택(金天澤)·김조순(金祖淳)·김중열(金重悅)·이덕함(李德涵)·박효관(朴孝寬)·안민영(安玟英) 등의 시조.
 
【인용】한겨레음악대사전 / 국어국문학자료사전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