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창의문(彰義門) 밖에 있던 정자다. 조선 영조 24년(1748년)에 세웠다. 그 이름은 인조반정 때 이귀·김유 등 이곳에 모여 광해군 폐위를 결의하고 칼날을 세웠다는 데서 유래했다. 1976년 11월 11일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 백과사전
서울 창의문(彰義門) 밖에 있던 정자다. 조선 영조 24년(1748년)에 세웠다. 그 이름은 인조반정 때 이귀·김유 등 이곳에 모여 광해군 폐위를 결의하고 칼날을 세웠다는 데서 유래했다. 1976년 11월 11일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세검정은 조선 숙종(재위 1674∼1720)때 북한산성을 축조하면서 군사들의 휴식처로 세웠다고도 하며, 연산군(재위 1494∼1506)의 유흥을 위해 지은 정자라고도 전한다. 세검정이란 이름은 광해군 15년(1623) 인조반정 때 이곳에서 광해군의 폐위를 의논하고 칼을 갈아 날을 세웠다고 한데서 세검(洗劍)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 정자는 평면상 T자형이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영조 24년(1748)에 고쳐 지었으나 1941년에 불타 없어져서 1977년 옛 모습대로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세검정은 평화를 상징하는 정자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었다는 점 등에서 한국적인 건축의 참맛을 느낄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여행】성북구 정릉과 사직공원을 연결하는 드라이브 코스인 북악 스카이웨이는 자동차 전용 도로였다가 노무현 대통령 때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물론 군부대 지역이 있어 제한적이지만 정릉의 하늘 한마당에서 하늘 전망대를 거쳐 북악 팔각정을 지나 세검정쪽으로 내려왔다. 찻길 옆이지만 한번 걸어볼 만한 코스다.
【여행】인왕산(仁王山)은 서울 서쪽에 있는 산으로 약 340m 높이의 산이다. 휴일이면 많은 분들이 찾는데 산행객이 많은 코스는 청운공원 코스(한양도성 성곽길), 사직공원 코스, 무악동 코스 등이지만 세검정 삼거리 코스도 있다. 산행객이 드문 세검정 산행 코스를 홍제 3동 개미마을에서 출발해 홍심 약수터를 거쳐 세검정 삼거리로 내려오는 산길(약 50분 소요)을 소개합니다. 주변에 석파랑, 홍지문, 세검정을 함께 볼 수 있으며 걷기에 부담이 적고 그늘진 숲길 코스라 추천합니다.
【여행】성북구 정릉과 사직공원을 연결하는 드라이브 코스인 북악 스카이웨이는 자동차 전용 도로였다가 노무현 대통령 때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물론 군부대 지역이 있어 제한적이지만 정릉의 하늘 한마당에서 하늘 전망대를 거쳐 북악 팔각정을 지나 세검정쪽으로 내려왔다. 찻길 옆이지만 한번 걸어볼 만한 코스다.
【여행】인왕산(仁王山)은 서울 서쪽에 있는 산으로 약 340m 높이의 산이다. 휴일이면 많은 분들이 찾는데 산행객이 많은 코스는 청운공원 코스(한양도성 성곽길), 사직공원 코스, 무악동 코스 등이지만 세검정 삼거리 코스도 있다. 산행객이 드문 세검정 산행 코스를 홍제 3동 개미마을에서 출발해 홍심 약수터를 거쳐 세검정 삼거리로 내려오는 산길(약 50분 소요)을 소개합니다. 주변에 석파랑, 홍지문, 세검정을 함께 볼 수 있으며 걷기에 부담이 적고 그늘진 숲길 코스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