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3년(명종 3), 8월에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있던
김보당 등 문신 계열이 동계(東界)에서 일으킨 반란.
1173년(명종 3) 계사년(癸巳年)에 일어났으므로 ‘계사(癸巳)의 난’이라고도 한다. 김보당(金甫當)은 무신정변(武臣政變) 이후 정4품의 공부시랑(工部侍郎)과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임명되었다. 그는 1170년(의종 24) 무신 정변이 일어난 지 3년 후인 1173년 8월에 간의대부로서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있으면서, 무신정변의 주동자 정중부(鄭仲夫) · 이의방(李義方) 등을 토벌하고 전(前) 왕인 의종(毅宗)을 다시 세우고자 병마녹사 이경직(李敬直) 및 장순석(張純錫) 등과 모의해 동계(東界)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김보당의 난은 1173년(명종 3) 8월에 동북면병마사로 있던 김보당 등 문신 계열이 동계(東界)에서 일으킨 반란이다. 무신정변에 소극적으로 대처한 문신 계열이 김보당를 중심으로 하여 일으킨 사건으로, 이의방(李義方) 등의 일방적인 정국 주도에 대한 반발이 주요 원인이 되었다. 이 반란을 통해 거제(巨濟)에 부처 되었던 전 왕인 의종(毅宗)을 경주(慶州)로 피신시켜 구(舊)지배 체제로의 복구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의방에 의한 문신의 대대적인 살육과 의종 시해로 끝을 맺었다.
이 반란은 1170년 이후 무신정권 하에서 문신 계열에 의해 일어난 대표적인 ‘반무신란(反武臣亂)’이었다. 그 목적은 무신정권(武臣政權)을 전복하고, 전 왕인 의종을 받들어 구지배 체제로 환원하려는 데 있었다. 반란 실패 원인은 의종의 복위가 여타 문신 계열 및 일반인들에게 큰 파급력을 지니지 못했다는 데에 있었다.
반란에 가담한 인물들은 김보당의 동생 김지당(金至當)을 비롯하여 그와 개인적인 인맥으로 얽혀 있거나 의종 때 내시(內寺)를 지낸 자들이었다. 이들이 주로 문신 계열임을 고려할 때 이 반란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김보당이 죽을 때 “문신으로서 이 모의에 가담하지 않은 자가 없다.”라고 한 말이 계기가 되어, 무신정변 과정에서 화를 면하였던 문신들까지도 학살을 당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