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42] 고려 전기에, 중추사, 참지정사 이부상서 등을 역임한 문신.
훈신(勳臣)가문출신으로 목종 때 김치양(金致陽)이 천추태후(千秋太后)와 사통하여 얻은 아들을 왕위에 올리려는 음모를 꾸미자, 이를 막기 위하여 선휘판관(宣徽判官)으로서
채충순(蔡忠順)·
최항(崔沆) 등의 천거를 받아 낭장
문연(文演) 등과 함께 삼각산(三角山) 신혈사(神穴寺)에 가서 대량원군 왕순(大良院君 王詢: 현종)을 맞아들여 즉위하게 하였다.
현종이 즉위하자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에 제수되고, 이어 이부시랑·내사사인(內史舍人)을 역임하였다. 1014년(현종 5) 중추원일직원(中樞院日直員)으로 중추원사(中樞院使) 장연우(張延祐)와 함께 왕에게 건의하여 경군(京軍)의 영업전(永業田)을 거두어 관리들의 봉급에 충당하였다가 상장군 최질·김훈(金訓) 등에 의하여 유배되었다. (
김훈·최질의 난)
1016년 김훈 등이 사형되자 급사중(給事中)에 기용되었고,
1026년에는 어사대부(御史大夫)에 올라 참지정사(參知政事)
왕가도(王可道)와 함께 개경(開京)에 나성(羅城)을 쌓았으며, 1031년(덕종 즉위년) 중추사(中樞使)가 되었다.
이듬해 참지정사 이부상서(參知政事吏部尙書), 1034년 내사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內史侍郎同內史門下平章事), 1036년(정종 2) 문하시랑이 된 뒤에 치사(致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