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부북일기(赴北日記)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부북일기 (赴北日記)
조선시대 울산에 살았던 울산 박씨 박계숙(朴繼叔, 1569〜1646)과 박취문(朴就文, 1617〜1690) 부자가 남긴 일기이다. 박계숙은 1605년에, 박취문은 1644년에 함경도로 파견되어 약 1년간 군관(軍官)으로 복무하였으며, 그것에 대한 일상생활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부북일기 (赴北日記)
▣ 백과사전
조선시대 울산에 살았던 울산 박씨 박계숙(朴繼叔, 1569〜1646)과 박취문(朴就文, 1617〜1690) 부자가 남긴 일기이다. 박계숙은 1605년에, 박취문은 1644년에 함경도로 파견되어 약 1년간 군관(軍官)으로 복무하였으며, 그것에 대한 일상생활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책은 1권으로 총 79장이며, 박계숙 일기가 24장, 박취문 일기가 55장으로 크기는 가로19cm, 세로 27cm이다.
 
이 일기는 조선시대 무관(武官)이 남긴 것이라는 점에서 희소가치가 크며, 아버지와 아들의 양 대에 걸친 일기를 합친 것에서 주목을 끈다. 무엇보다 생활 주변의 자질구레한 것까지도 숨김없이 자세하게 써 놓은 것이 매우 놀랍다. 또한 17세기 변방지역의 군사 업무의 실상과 군관들의 생활상을 살펴보는데 도움을 준다. 경상도 울산에서 함경도 회령에 이르는 노정이 하루도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도로 교통의 실태도 알 수 있다. 현재 울산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다.
 
【인용】국가유산포털(국가유산청)
 

 
아버지 박계숙과 아들 박취문이 함경도에서 군관으로 복무하며 매일의 일상을 직접 기록한 일기로 박계숙은 1605년, 박취문은 1644년에 복무하였다.
 
아버지의 일기는 1605년 10월 15일 울산에서 출발하여 1년간 함경도 회령부 보을하진에서 군복무 후, 1607년 1월 1일 변경생활을 마치고 집에 돌아올 때까지 쓴 일기이고, 아들의 일기는 1644년 12월 9일 출발하여 1646년 4월 4일 돌아올 때까지 쓴 일기이다.
 
최변방 지역에서의 고통스러운 군복무 생활, 경제적으로 지급받았던 각종 세금, 부역 특혜와 급료, 1년에 4차례 행해질 때마다 전 부대원들을 긴장시켰던 상급부대의 순찰, 각종 활쏘기 내용, 부방길에 동침한 여러 여인들의 인적사항과 이름, 문란한 성생활을 하다 매독에 걸린 일, 여러 사람과 주고받은 각종 선물, 부대에서의 조총 제조 실태 등 당시 하급 군관들의 모든 일상 생활이 세세히 기록되어 있다.
 
1600년대 초중기 변경지방에서의 군복무와 생활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박계숙 일기
 
​조선시대 선조 재임 막바지인 1604년 선조 38년에 울산의 무관 출신인 박계문(朴繼叔)의 약 1년 간 함경도 회령(會寧)의 보을하진에서 군관으로 근무 할 당시의 생활 일기다.
 
기록에 따르면 박계숙은 선조 2년인 1569년 태어나서 선조 27년, 1594년 나이 26세에 무과 시험에 합격하였고 무과 합격 후 의무적으로 부방(赴防 : 무과에 합격한 양반이 변경 지역에 의무적으로 파견 되어 군역의 의무를 수행하는 일)생활을 한 것으로 보이지만 최초 부방 당시의 기록이나 일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선조 27년에는 임진왜란의 혼란한 난중이므로 기록을 남기기가 쉽지 않았거나 남긴 기록이 소실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10여 년이 지난 선조 38년인 1604년에 박계숙은 37세의 나이로 두번째 부방을 하게 되는데 당시 가장 변방 지역에 속하는 함경도의 6진 지역 중 회령부에 소속되어 보을하진의 병방 군관으로 배치 받게 된다.
 
박계숙의 두번째 종군의 일기에는 처음 고향인 울산에서 길을 떠나는 여정과 지나는 고을에서 겪은 사소한 사건사고들, 그리고 부방 생활 중의 상관과의 사소한 의견 충돌 등을 담담하게 서술하고 있다.
 
부방 생활 당시의 일기는 군관들의 단조로운 부방 생활을 볼 수 있지만 임진왜란 후 고조되는 여진과의 긴장감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박계숙은 이후 1년 간의 부방 생활을 무사히 마치고 나는듯 고향으로 돌아갔고 이후 선전관과 훈련부정 등의 무관직을 역임한 것으로 보이고 1646년, 인조 24년에 세상을 떠난다.
 
박취문 일기
 
박취문은 박계숙의 아들이다.
 
박취문도 아버지 박계숙과 같이 무과에 급제하여 첫 부방 생활을 함경도 6진으로 배치 받는다.
 
그는 1617년 광해군 9년에 태어나 1644년 인조 22년 무과에 급제 후 바로 군역의 의무를 수행 하기 위하여 함경도로 떠나게 된다.
 
박계숙 일기와 박취문 일기는 시간적으로 40년의 차이가 있다.
 
박계문과 박취문이 부방 할 당시의 시대 상황으로는 광해군의 등극과 인조 반정, 그리고 인조 재임 당시 두차례의 호란으로 인한 국가 질서의 붕괴 등이 있고 아들인 박취문이 부방 할 당시인 인조 22년에는 청나라에 완전히 복속된 조선의 변경 지역 상황이 아버지 박계숙의 종군 당시인 1604년과 엄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이 당시 공식적으로는 청나라에 복속된 속국이었으나 정신적으로는 청나라를 무시하는 양반들의 사고 방식을 볼 수 있고 당시 양반들 사이에 '호반적자(胡飯賊者)' 즉 '청나라 오랑캐 반역자'라는 말이 가장 크게 상대를 희롱하는 말로 유행한 사실이다. 또한 호란으로 인한 국가 질서 붕괴를 통해 양반과 천민, 그리고 하급 군관과 상대적으로 고위직 관리들과의 위계질서가 상당히 어지러워진 상황이 박취문의 일기에 그대로 들어난다.
 
그리고 박취문의 일기에는 당시 변방지역 장수들의 생활상과 관청의 기생들과의 잠자리 등을 적나라하게 볼 수 있어 시대적인 상황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박취문은 28세에 첫 부방 생활 이후 선전관, 경상좌도 병영과 수영의 우후, 훈련 부정, 인동, 갑산, 김해의 고을 원을 역임하고 숙종 16년 1690년에 사망한다.
 
박취문의 일기는 1644년 인조 22년 12월 9일 시작으로 1646년 인조 24년 4월 4일까지다.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부북일기 赴北日記 고전 수필 박계숙, 박취문 (50)
◈ 참조 원문/전문
부북일기 ​(1645년) 赴北日記 고전 수필 박취문(朴就文) (119) 부북일기 (1605년) 赴北日記 고전 수필 박계숙(朴繼叔) (82) 부북일기 (1606년) 赴北日記 고전 수필 박계숙(朴繼叔) (77) 부북일기 ​(1646년) 赴北日記 고전 수필 박취문(朴就文) (48) 부북일기 ​(1644년) 赴北日記 고전 수필 박취문(朴就文) (32) 부북일기 (1607년) 赴北日記 고전 수필 박계숙(朴繼叔) (30)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일기 (7) 백과 박계숙 (4) 박취문 (4)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