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
주몽의 어머니로, 시조모로서 훗날 주몽과 함께 신으로 섬겨진 왕족.
전설에 의하면 수신(水神)인
하백(河伯)의 장녀인 유화는 동생 위화(葦花)·훤화(萱花)와 함께 압록강가에서 놀다가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解慕漱)를 만나 크기가 닷되들이만한 알을 낳게 되었는데, 그 속에서
주몽이 나왔다고 한다.
또, 이규보(李奎報)의 서사시 「
동명왕편(東明王篇)」에서는 주몽이 부여에서 남쪽으로 이주할 때에 신모(神母 : 柳花夫人)가 오곡(五穀)의 종자를 가지고 가라고 싸주었으나 이별하는 슬픔에 보리종자[麥子]를 빠뜨렸는데 신모가 사자(使者)인 비둘기를 시켜 주몽에게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사실은 유화부인, 즉 주몽의 신모가 맥류경작(麥類耕作)과 관련된 농업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화부인은 서기전 24년(동명왕 14) 8월 동부여에서 죽었는데, 그 왕 금와(金蛙)는 태후(太后)의 예(禮)로써 장례를 지내고 신묘(神廟)를 세워주었다.
한편, 뒤에 고구려에서는 주몽과 더불어 그 어머니인 하백녀(河伯女)가 국가적인 치제(致祭)의 대상으로 섬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