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배구자(裵龜子)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배구자 (裵龜子)
[1905 ~ 2003] 일제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무용가이며 극장 경영자이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서양 무용을 배워 한국에서 공연을 한 무용가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배구자 (裵龜子) 1905 1905년 1909년 1935년 1870 배정자 (裵貞子) 1841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912 임선규 (林仙圭) 1911 박영호 (朴英鎬) 1905 박진 (朴珍) 1905 홍순언 (洪淳彦) 1905 김태진 (金兌鎭) 1903 송영 (宋影) 1902 안종화 (安鍾和) 1901 최독견 (崔獨鵑) 1899 이서구 (李瑞求) 1894 홍해성 (洪海星) 1879 안중근 (安重根) 동양극장 1948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 1905 통감부 (統監府) 청춘좌 (靑春座) 1936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검사와여선생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1904 러·일 전쟁 (--日戰爭)
▣ 백과사전
[1905 ~ 2003] 일제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무용가이며 극장 경영자이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서양 무용을 배워 한국에서 공연을 한 무용가이다.
 

생애

충청남도 대전 출신으로 출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설이 있다. 공식적으로는 배정자의 조카이나, 배정자와 이토 히로부미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라는 소문이 꾸준히 돌았다.
 
유년 시절의 행적은 불투명하다. 이는 배구자가 몸담고 있던 일본 덴카스 일행이 경성부에서 공연을 시작한 1918년 경부터 언론에 보도되기 시작한 이력을 본인이 후에 부인했기 때문이다. 공통되는 점을 묶으면, 시기는 불확실하나 어린 나이에 덴카스의 단원이 되어 해외 공연을 다니면서 무용을 배웠다는 것이다.
 
1926년에 덴카스가 평양에서 공연 중일 때 몰래 빠져나와 칩거를 시작했다. 덴카스에서 탈퇴한 이유는 단장이자 양어머니인 효교쿠사이 덴카스의 의붓아들과 사랑에 빠지면서 처지가 곤란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 탈출을 도와준 홍순언과는 후에 결혼하게 되었다. 이때까지 배구자는 한국어를 구사하지 못했다.
 
1928년에 ‘배구자고별무도회’라는 행사를 가지면서 공연계에 복귀한 뒤 1929년부터 홍순언의 도움을 받아 활동을 재개하였다. 현재의 서울 중구 신당동 지역에 배구자무용연구소를 설립하고 연구생을 모집하여 교육하였다. 배구자는 오랜 외국 생활 중 오히려 조선 무용에 대한 관심을 키워왔고,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전통에 입각한 조선 무용 수립에 들어갔다.
 
배구자무용연구소 연구생들로 배구자무용가극단을 꾸려 조선과 일본을 오가는 순회 공연을 가졌다. 공연 형태는 무용과 음악을 엮은 쇼인 레뷰를 중심으로 가극, 촌극, 비극이 포함된 종합적인 프로그램이었다. 조선의 전통 민요를 무용화하는 등 새로운 시도도 많이 이루어졌다. 왕성한 공연 활동을 벌이는 와중에 홍순언과 함께 동양극장을 설립해 신파극 전성시대를 열기도 했다.
 
1937년에 남편 홍순언이 급서하면서 배구자의 인생도 바뀌었다. 남편의 소상을 치르기도 전에 이미 다른 사람의 아이를 임신한 끝에 재혼을 결행하였고, 동양극장 경영권 문제로 고소를 당하기도 했다. 배구자는 재혼 이후 일체의 사회적 활동을 끊고 배구자악극단도 해체되었다. 1950년대에는 일본계 미군과 세 번째로 결혼하여 일본으로 이주하였다. 말년은 미국에서 보냈으며 90대까지 장수하였다.
 
【인용】위키백과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이서구 (4) 백과 홍순언 (4) 백과 1935년 (2) 백과 동양극장 (2) 백과 박진 (2) 백과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2) 백과 이운방 (2) 임선규 (2) 백과 최독견 (2) 백과 홍해성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