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덕흥군(德興君)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덕흥군 (德興君)
[? ~ ?] 고려후기 제26대 충선왕의 셋째 아들인 왕자. 본관은 개성(開城). 몽고 이름은 탑사첩목아(塔思帖木兒). 충선왕의 셋째 아들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덕흥군 (德興君) 1356 반원정치 부원세력 918 고려 (高麗) 1364년 1352년 1354년 1356년 1340년 1333년 1321년 1313년 14c초 기철 (奇轍) 1314 최유 (崔濡) 1306 권겸 (權謙) 1306 노책 (盧頙) 1275 충선왕 (忠宣王) 기황후 (奇皇后) 14C초 김용 (金鏞) 1392 조선 태조 (太祖) 1351 공민왕 (恭愍王) 1338 북원 소종 1333 순제 (順帝) 1328 최원 (崔源) 1316 최영 (崔瑩) 1294 충숙왕 (忠肅王) 1294 최안도 (崔安道) 1287 이제현 (李齊賢) 1281 권준 (權準) 1274 충렬왕 (忠烈王) 1266 기자오 (奇子敖) 1265 계국 대장 공주 1262 권부 (權溥) 1259 제국 대장 공주 1254 조맹부 (趙孟頫) 1247 백이정 (白頤正) 1238 요수 (姚燧) 1228 권단 (權㫜) 1347 정치도감 1314 만권당 (萬卷堂) 1364 최유의 난 1339 조적의 난
▣ 백과사전
[? ~ ?] 고려후기 제26대 충선왕의 셋째 아들인 왕자. 본관은 개성(開城). 몽고 이름은 탑사첩목아(塔思帖木兒). 충선왕의 셋째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충선왕이 내쫓은 궁인(宮人)이 원나라 사람인 백문거(白文擧)에게 결혼해 낳았다고도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일찍이 중이 되었다가 1351년(충정왕 3) 공민왕이 즉위하자, 원나라로 도망하였다.
 
1356년(공민왕 5) 왕이 반원개혁(反元改革)을 하면서 기철(奇轍)·노책(盧頙)·권겸(權謙) 등을 죽였다. 당시 고려를 배반하고 원나라에 가 있던 최유(崔濡) 등이 기철의 누이 기황후에게 무고하였다. 이에 원나라에서는 1362년 공민왕을 폐하고 대신 덕흥군을 고려 국왕으로 세우려 하였다.
 
1363년 12월 요양(遼陽)의 군사 1만 명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하였다. 이듬해 정월 의주를 점령하고 남하하려다가, 수주(隨州: 평안북도 정주)의 달천(獺川)에서 최영(崔瑩)·이성계(李成桂) 등이 이끄는 고려군에게 패해 원나라로 돌아갔다.
 
곧바로 원나라에서 장형(杖刑)에 처해졌으며, 고려의 요구에 따라 고려로 소환되려 할 때 등창이 나서 보류되었다. 끝내 고려로 압송되지는 않았지만, 다시는 고려를 넘보지 못하였다. 한편, 1377년(우왕 3) 안주(安州)에서 승 달명(達明)이 덕흥군의 아들임을 자칭하면서 반역을 꾀했다가 잡혀 죽은 일도 있었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1364년 (4) 백과 기황후 (4) 백과 최유 (4) 백과 반원정치 (3) 백과 조선 태조 (3) 백과 공민왕 (2) 백과 이제현 (2) 백과 이조년 (2) 백과 조적의 난 (2) 백과 최안도 (2) 백과 최영 (2) 백과 최원 (2) 백과 최유의 난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부 : 충선왕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