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최안도(崔安道)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최안도 (崔安道)
[1294 ~ 1340] 고려의 문신이다. 내사령 최충의 후손이며 검교첨의평리상호군(檢校詹議評理上護軍) 현(玄)의 아들이다. 본관은 해주(海州)이고, 초명은 나해(那海)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최안도 (崔安道) 1294 918 고려 (高麗) 1364년 1313년 1328 최원 (崔源) 1314 최유 (崔濡) 1275 충선왕 (忠宣王) 14C초 김용 (金鏞) 1316 최영 (崔瑩) 1312 안우 (安祐) 1302 조일신 (趙日新) 1294 충숙왕 (忠肅王) 기황후 (奇皇后) 덕흥군 (德興君) 1287 이제현 (李齊賢) 1274 충렬왕 (忠烈王) 1265 계국 대장 공주 1259 제국 대장 공주 1254 조맹부 (趙孟頫) 1247 백이정 (白頤正) 1238 요수 (姚燧) 1314 만권당 (萬卷堂) 1364 최유의 난 1339 조적의 난
▣ 백과사전
[1294 ~ 1340] 고려의 문신이다. 내사령 최충의 후손이며 검교첨의평리상호군(檢校詹議評理上護軍) 현(玄)의 아들이다. 본관은 해주(海州)이고, 초명은 나해(那海)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천한 신분이었으나 일찍이 충선왕을 따라 연경(燕京)에 있으면서 몽고어와 한어(漢語)를 익혀 출세의 기반으로 삼았다.
 
충선왕 때에는 조적(曺頔)의 참소로 한때 해도(海島)에 유배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충숙왕이 즉위한 뒤 바로 아래에서 노고를 다함으로써 폐신이 되어 전토가 하사되었다. 그 뒤 1319년(충숙왕 6) 호군(護軍)에 올랐다.
 
1321년 충숙왕이 심양왕 왕고(瀋陽王 王暠) 일파의 참소로 원나라에 들어가 5년 간 억류되어 있을 때, 성심으로 시종(侍從)하였다. 그 공으로 1325년 귀국해 전민(田民)이 하사되었다. 이듬해에는 대호군에 올랐고, 1327년 응양상호군(鷹揚上護軍)으로 1등공신이 되었다.
 
이 무렵 충숙왕이 정치를 돌보지 않자 김지경(金之鏡)·신시용(申時用)과 중 조륜(祖倫) 등과 함께 권력을 잡았다. 그런 다음 벼슬을 팔고, 부정한 재판으로 뇌물을 받는 등 행동을 함부로 하였다.
 
또한, 대간(臺諫)의 상소문을 중간에서 가로채 임금에게 전달되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나 1321년과 1322년에 있었던 오잠(吳潛)과 유청신(柳淸臣)의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元으로 하여금 고려에 行中書省을 설치하도록 획책한 사건)을 저지해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래서 다른 공로자들과 함께 토지 100결(結)과 노비 10구(口)가 하사되었다. 그럼으로써 전후에 왕으로부터 받은 토지가 수백 결이었고, 노비는 수십 구에 이르렀다. 1331년(충혜왕 1) 감찰대부를 역임하고, 동지밀직사사에 올랐다.
 
한편, 원나라에서 받은 관직은 정동행성좌우사원외랑(征東行省左右司員外郎)·중상감승(中尙監丞)·태부대감(太府大監) 등이었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1339년 (2) 백과 1364년 (2) 백과 조적의 난 (2) 백과 최유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자 : 최유, 최원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