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1∼1973] 일제강점기 「쌍옥루」, 「낙화유수」, 「수일과 순애」 등의 작품에 관여한 영화인. 영화감독, 시나리오작가.
서울 출신. 공옥보통학교(工玉普通學校)를 마치고 배재학당(培材學堂)을 졸업하였다. 소년시절부터 활동사진에 관심을 가졌고, 20세에 영화수업을 위하여 일본으로 갔다.
1923년 귀국하여, 영화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바탕으로 신문에 영화이론 소개 및 영화평을 썼다. 1924년 11월 연극과 영화의 혁신을 기하기 위하여 현철(玄哲)과 함께 조선배우학교를 설립하고 각본작법 · 연기론 · 활동사진사 등을 가르쳤다.
1925년 이필우(李弼雨) 등과
고려영화제작소를 설립하고 「쌍옥루(雙玉淚)」를 각색, 감독함으로써 영화감독이 되었다. 같은 해 겨울에는 단성사의 영화선전 및 촬영부의 일을 맡았다.
1927년 김영환(金永換)과
금강키네마를 설립하였으며, 대표적인 무성영화 「낙화유수(落花流水)」를 감독하였다. 그는 1924∼1954년까지 30년 동안 감독작품 7편, 각본 16편을 발표하였다.
주요작품으로는 감독과 각본을 겸한 「쌍옥루」 · 「낙화유수」 외에 「승방비곡」(1930) · 「아리랑 그 후의 이야기」(1930) · 「수일과 순애」(1931) · 「갈대꽃」(1931) 등이 있다. 주요시나리오로는 「춘향전」(1935) · 「3·1 혁명기」(1947) · 「아름다웠던 서울」(1950) · 「성불사」(1952) · 「영광의 길」(1953) · 「고향의 노래」(1954) 등이 있다.
그의 말기의 각본은
윤봉춘(尹逢春)에 의하여 연출되었으며, 그 내용은 민족정신과 정서를 담고 있다. 그는 일제의 압박이 심하던 1935∼1945년 사이에는 일절 활동을 하지 않았다. 감독 및 시나리오작가로서 초창기 한국영화를 개척한 공로자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