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 )
1936년 임선규(林仙圭)가 쓴 희곡. 일명 「홍도야 우지 마라」으로, 4막 5장으로 구성되었다. 1936년 7월 동양극장(東洋劇場)의 전속극단인 청춘좌(靑春座)가 공연해 장안의 화제를 모았으며, 동양극장의 주된 레퍼터리였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1936 한국 문학 (韓國文學) 1936년 1935년 1912 임선규 (林仙圭) 1911 김영수 (金永壽) 1905 박진 (朴珍) 1903 송영 (宋影) 1899 이서구 (李瑞求)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친일반민족행위자 1911 박영호 (朴英鎬) 1905 배구자 (裵龜子) 1905 홍순언 (洪淳彦) 1905 김태진 (金兌鎭) 1902 안종화 (安鍾和) 1901 최독견 (崔獨鵑) 1900 한설야 (韓雪野) 1894 홍해성 (洪海星) 동양극장 청춘좌 (靑春座) 1943 조선문인보국회 1925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1922 염군사 (焰群社) 1922 토월회 (土月會) 검사와여선생
▣ 백과사전
1936년 임선규(林仙圭)가 쓴 희곡. 일명 「홍도야 우지 마라」으로, 4막 5장으로 구성되었다. 1936년 7월 동양극장(東洋劇場)의 전속극단인 청춘좌(靑春座)가 공연해 장안의 화제를 모았으며, 동양극장의 주된 레퍼터리였다.
 

내용

 
임선규는 박진(朴珍)·이서구(李瑞求)·송영(宋影)·김영수(金永壽) 등과 함께 동양극장의 전속극작가였는데, 이들은 관객층을 분석하고 연기자의 성격에 맞추어 쓸 것을 요청받았다.
 
특히, 동양극장의 주요 단골관객인 여성층과 기생층의 비위에 잘 맞추어 쓰는 것이 신파극의 성공을 결정지었다. 이 작품은 한 기생을 주인공으로 설정한 화류비련(花柳悲戀)의 멜로드라마로 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가난한 남매가 일찍 부모를 여의고 자랐는데, 여동생 홍도는 오빠를 공부시키기 위해 기생이 된다. 홍도는 우연히 오빠의 동창생과 알게 되고 사랑에 빠지게 된다. 명문가의 아들인 홍도의 애인은 명문인 박대감집 딸과 약혼한 사이였다.
 
그런데도 그는 홍도를 사랑한 나머지 동거생활로 들어가고, 그의 집안에서는 일대 소동이 벌어진다. 완고한 그의 부모도 두 사람의 사랑 앞에서는 어쩔 수 없이 굴복하고 홍도를 며느리로 맞아들인다. 그러나 남편이 유학을 떠나자 시어머니는 기생며느리를 박대하고 내쫓음으로써 극적 전환을 맞는다.
 
시어머니와 시누이는 음모를 꾸며 며느리를 부정한 여자로 만든다. 그때 남편이 공부를 마치고 귀국하자 홍도는 순사가 된 자기 오빠와 함께 남편을 만나기 위해 시댁으로 간다. 그러나 음모자들인 시댁 식구와 남편은 그녀를 부정한 여자라고 박대하고, 남편은 전 약혼녀와 결혼하려고까지 한다.
 
너무 억울하고 분노가 치민 홍도는 순간 제 정신을 잃고 전 약혼녀를 과도로 찔러 살인을 하게 된다. 그때서야 그녀의 결백이 밝혀지면서 남편도 오해를 풀지만 때는 이미 늦었다. 그녀는 순사인 오빠에 의해 손목에 수갑을 차고 끌려가지 않으면 안 되는 기구한 운명에 처해진다.
 
이 작품은 봉건도덕에 의해 희생당하는 여인의 비극적 운명을 묘사한 전형적 신파극이며, 고등신파(高等新派)라고 자타가 공인하던 동양극장의 대표작일 뿐만 아니라, 1930년대 후반의 상업주의 취향을 엿볼 수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이서구 (4) 백과 홍순언 (4) 백과 임선규 (3) 백과 1935년 (2) 백과 1937년 (2) 백과 박진 (2) 백과 배구자 (2) 백과 이운방 (2) 최독견 (2) 백과 홍해성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