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조선 전기의 문신.
집현전 학사로 세종(世宗)의 신임을 받았으나 수양대군(首陽大君)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충청도 보령으로 돌아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본관은 광산(光山), 증조할아버지는 전라우도 도만호 김성우(金成雨), 아버지는 감찰 김중로(金仲老)이다. 아들은 우의정
김극성(金克成)이다.
김맹권은 충청남도 보령 출신으로 일찍이 진사가 되고, 문명(文名)이 높아
집현전 학사로 뽑혔다. 세종의 신임을 받아 왕세손이었던 단종(端宗)을 보필하라는 부탁을 받았으나,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보령으로 돌아와 후진 양성에 공을 세워서 후에 ‘매월지충절(每月之忠節)’이라 하였다.
김맹권의 아들 김극성의 『우정집(憂亭集)』에 의하면 “공의 교화 후에 성암(省菴)
이지번(李之蕃)·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명곡(鳴谷)
이산보(李山甫)·천휴당(天休堂)
이몽규(李夢奎)가 모두 이 고을에서 배출되어 공을 모두 향선생(鄕先生)으로 칭했다”고 하여, 김맹권이 조선 전기 보령에 끼친 학문적 영향력이 적지 않았음을 말해 주고 있다.
묘소는 충청남도 보령시 죽정동 독정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