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임진강 전투(臨津江戰鬪)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임진강 전투 (臨津江戰鬪)
임진왜란 때인 1592년 5월에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등이 임진강에서 왜군과 싸운 전투.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임진강 전투 (臨津江戰鬪) 1592 1368 (明) 1592년 1636 (淸) 1590년 1598년 1583년 1588년 1558년 16c중 유극량 (劉克良) 16c중 신각 (申恪) 1571 이천 (李薦) 1562 가토 기요마사 1554 한응인 (韓應寅) 1548 신할 (申硈) 1538 이일 (李鎰) 1534 김명원 (金命元) 1526 이양원 (李陽元) 16C중 고니시 유키나가 16c중 니탕개 (尼蕩介) 1568 구로다 나가마사 1567 선조 (宣祖) 1561 이덕형 (李德馨) 1556 이항복 (李恒福) 1554 김시민 (金時敏) 1548 이여송 (李如松) 1547 김수 1547 이원익 (李元翼) 1546 신립 (申砬) 1545 이순신 (李舜臣) 1543 이경록 (李慶祿) 1542 도쿠가와 이에야스 1538 김성일 (金誠一) 1537 권율 (權慄) 1537 김천일 (金千鎰) 1537 도요토미 히데요시 1536 이이 (李珥) 1536 황윤길 (黃允吉) 1532 최경회 (崔慶會) 1501 이황 (李滉) 동의보감 (東醫寶鑑)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8 노량 해전 (露梁海戰) 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1593 행주 대첩 (幸州大捷) 1592 경주 전투 (慶州戰鬪) 종계 변무 1592 진주성 전투 1592 한산도 대첩 해유령 전투 1589 기축옥사 (己丑獄事) 김명원 선생 묘 및 신도비 (미정의) 권징 (미정의) 박충간 (미정의) 이빈 (미정의) 이성임 (미정의) 홍봉상
▣ 백과사전
임진왜란 때인 1592년 5월에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등이 임진강에서 왜군과 싸운 전투.
 

내용

 
북침을 막으려다 패한 싸움이다. 1592년(선조 25) 한강 수비를 맡은 도원수 김명원은 임진강으로 퇴거하여 장계(狀啓)를 올려 적의 상황을 보고하였다.
 
이에 선조는 김명원의 한강 방어 실패의 책임을 묻지 않고 다시 경기·해서 군사를 징발해 임진강을 지킬 것을 명하였다. 그리고 남병사 신할(申硈)이 체직(遞職)되어 돌아온 것을 수어사로 삼아 함께 임진강을 수비하도록 하였다.
 
당시 임진강 방어에는 명령 계통이 셋으로 나뉘어 있었다. 첫째는 도원수 김명원과 그 휘하에 부원수 이빈(李薲), 독진관 홍봉상(洪鳳祥), 경기감사 권징(權徵), 조방장 유극량(劉克良), 검찰사 박충간(朴忠侃), 좌위장 이천(李薦), 방어사 신할 등이다.
 
둘째는 제도도순찰사 한응인(韓應寅)과 부사 이성임(李聖任)이었다. 셋째는 임진강 상류 대탄(大灘 : 지금의 경기도 연천 부근)에 전 유도대장(留都大將) 이양원(李陽元)과 순변사 이일(李鎰), 전 부원수 신각(申恪) 등의 군사가 포진하고 있었다. 병력 수는 도원수 휘하에 7,000명, 제도도순찰사 휘하에 서계토병(西界土兵) 1,000명, 전 유도대장 휘하에 5,000명으로 모두 1만 3000명이었다.
 
서울에 머무르고 있던 일본군은 새로운 작전계획을 짰고, 우키타(宇喜多秀家)는 그대로 서울에 머무르면서 전군을 총지휘하고, 1번대(番隊)의 주장 고니시(小西行長)는 평양으로 가기로 하였다. 3번대의 주장 구로다(黑田長政)는 황해도로 가서 1번대를 후원하고, 2번대의 주장 가토(加藤淸正)는 함경도 방면으로 가기로 하였다. 그리고 4번대의 주장 모리(毛利吉成)는 강원도로 가서 2번대를 후원하기로 하였다.
 
가토군이 1592년 5월 10일 가장 먼저 서울을 떠나 임진강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물살이 급해 건너지 못하고 며칠을 기다렸다. 이 때 고니시가 권항사(勸降使) 야나가와(柳川調信)를 조선군 진영에 보내자, 가토는 강변에 소수의 군사만 남겨 두고 파주 쪽으로 철수하였다.
 
조선진영에서는 일본군의 전세가 불리하다는 헛된 보고가 계속 날아드는 데다 적이 여러 날 싸우지 않는 것을 보고, 그것을 사실로 믿었다. 행조(行朝)에서도 도원수에게 엄중히 질책하며 속히 싸울 것을 명하였다.
 
조방장 유극량은 강을 건너 싸우자는 여러 장수의 주장에, 적의 유인작전에 말려드는 것이라며 극구 반대하였다. 그러나, 군령을 따르지 않을 수 없어 패배를 예견하면서도 신할을 따라 강을 건넜다. 도원수도 도하작전을 반대했지만 명령 계통이 어수선하여 이를 막지 못하였다.
 
17일 가토군의 기습을 받아 신할·유극량 등의 장수가 전사했으며, 많은 관군이 돌아오지 못하고 강물에 빠져 죽었다. 이렇게, 큰 기대를 걸었던 임진강 방어전은 제대로 싸워 보지도 못하고 실패로 끝났다. 일본군은 27일 임진강을 건넜다. 도원수 김명원과 도순찰사 한응인 등은 패한 다음 평양 행재소(行在所)로 돌아왔으나, 선조는 형편상 죄를 물을 수 없었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이천 (4) 백과 김명원 (3) 백과 신립 (3) 백과 1592년 (2) 백과 신각 (2) 유홍 (2) 백과 임진왜란 (2) 백과 한응인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임진왜란때 전투.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