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5 ~ 1598] 조선 중기에, 성주목사, 전라도수군절도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한산도해전, 행주산성전투 등에서 활약한 무신 · 공신.
1569년(선조 2)에 겸사복(兼司僕)에 천거되어 10년의 임기를 마치고 1579년(선조12년) 무과에 급제하였다. 1586년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이일(李鎰)의 계청군관(啓請軍官)이 되었다.
1587년 조산만호(造山萬戶)이었던
이순신(李舜臣)과 함께 녹둔도(鹿屯島)에서 변방을 침범하는 여진족을 막아 공을 세웠다(
녹둔도사건). 1588년 거제현령·진도군수를 역임하고 이어 청백(淸白: 맑고 깨끗한 행세)으로 성주목사를 거쳐 1591년에 전라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 해 7월에
한산도해전에 참가하여 전라좌수사 이순신을 도와 왜적을 크게 무찔렀다. 1592년 12월
독산산성(禿山山城) 전투에서는 전라도병사로서 전라순찰사
권율(權慄)과 함께 승첩을 올렸는데 이 때 크게 부상당하였다.
이어 다음 해인 1593년 2월
행주산성 전투에 참가하여 권율이 적을 대파하는 데 공을 세웠다. 같은 해 9월에는 함안에 주둔하고 있던 적군이 약탈을 일삼고 있었으므로 이를 공격하다가 부상을 당하였다. 그 뒤 충청병사에 올랐다.
한산도에 내려와서는 이순신을 도와 둔전(屯田)을 일으켜 많은 군곡(軍穀)을 비축, 공을 세웠다. 1594년 9월에는 이순신과 함께
장문포(長門浦) 해전에서 또 공을 세웠다. 그 뒤 충청수사가 되고 다음 해 황해병사가 되었다.
이순신과 절친한 사이로 전투에서도 서로 도와 이름이 높았다. 1605년(선조 38) 선무원종공신일등(宣武原從功臣一等)에 추봉되고 보성의
오충사(五忠祠)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