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환조(桓祖)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환조 (桓祖)
[1315 ~ 1360] 조선의 제1대 왕 태조의 아버지로, 고려 후기에 공민왕의 반원정책에 가담해 공을 세웠으며, 아들 이성계가 조선 건국의 토대를 세울 수 있도록 동북면의 토착기반을 구축한 왕족.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환조 (桓祖) 1337 1356 반원정치 부원세력 1270 삼별초의 항쟁 1368 (明) 918 고려 (高麗) 조선 (朝鮮) 1398년 1356년 1260 (元) 14C중 유인우 (柳仁雨) 1392 조선 태조 (太祖) 1351 공민왕 (恭愍王) 1292 도조 (度祖) 14c초 기철 (奇轍) 14c초 인당 (印璫) 1400 조선 태종 (太宗) 1399 조선 정종 (定宗) 1389 공양왕 (恭讓王) 1382 의안 대군 (宜安大君) 1375 우왕 (禑王) 1364 회안대군 1348 충정왕 (忠定王) 1346 조준 (趙浚) 1338 이인임 (李仁任) 1337 정도전 (鄭道傳) 조선 익조 (翼祖) 이연종 (李衍宗) 1333 김사형 (金士衡) 1330 경복흥 (慶復興) 1325 배극렴 (裵克廉) 1321 신돈 (辛旽) 1320 남을번 (南乙蕃) 1316 최영 (崔瑩) 1315 노국 대장 공주 1306 권겸 (權謙) 1306 노책 (盧頙) 1294 충숙왕 (忠肅王) 1287 이제현 (李齊賢) 1221 배중손 (裵仲孫) 1969 국립 현대 미술관 이문소 (理問所) 1280 정동행성 1258 쌍성총관부 천산대렵도 태조실록 (太祖實錄) 요동 정벌
▣ 백과사전
[1315 ~ 1360] 조선의 제1대 왕 태조의 아버지로, 고려 후기에 공민왕반원정책에 가담해 공을 세웠으며, 아들 이성계가 조선 건국의 토대를 세울 수 있도록 동북면의 토착기반을 구축한 왕족.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과 자는 자춘(子春)이다. 도조(度祖: 李椿)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오동백호(斡東百戶) 박광(朴光)의 딸이다. 부인은 최한기(崔閑奇)의 딸 의혜왕후(懿惠王后: 추존)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94년(태조 3) 태조의 4대조를 추존할 때 환왕(桓王)으로, 태종 때 다시 환조로 추존되었다. 조카 이교주(李咬住)가 장성할 때까지 잠정적으로 형의 천호(千戶) 관직을 이어받았으나, 후에 독자적인 체제를 굳혔다. 그는 원나라의 후원에 힘입어 부원(附元)세력인 조씨(趙氏: 이복동생의 外家)와의 대결에서 승리하고 그 직책을 이어받았다.
 
그러나 그 뒤 원나라의 정책으로 타격을 입게 되자 차츰 원나라에 대해 회의를 느끼게 되었다. 당시 원나라는 이른바 삼성조마호계(三省照磨戶計)라 하여 중서성(中書省) · 요양성(遼陽省) ·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등 3성의 원주민과 이주민을 구분해 호적을 작성하였다. 그 의도는 원주민을 우대하고 국외의 이주자를 데려오는 것이었다. 이는 이주민을 세력 기반으로 구축하고 있던 그에게 치명적인 타격이 되었다.
 
한편, 공민왕은 원명 교체기에 원나라의 세력이 약해진 틈을 타서 반원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는 동북면의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와 연결된 친원 기씨(奇氏)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이 지역에서 유이민을 기반으로 세력을 형성한 이자춘을 끌어들일 필요성을 느꼈다. 이자춘도 대대로 구축해 온 세력 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1355년(공민왕 4) 공민왕을 찾아 복종할 뜻을 비치자, 공민왕은 그에게 소부윤(少府尹)을 제수하였다. 이듬해 그는 유인우(柳仁雨)와 함께 동북면을 협공해 쉽사리 이 지역을 점령하고 99년 만에 회수하였다. 이후 그는 공민왕의 반원정책에 가세해 뿌리 깊게 대립했던 조씨 세력을 제거했다.
 
또한, 이 때의 전공으로 대중대부사복경(大中大夫司僕卿)이 되어 저택을 하사받고 오랫동안 그의 기반이었던 동북면을 떠나 개경에 머물게 되었다. 개경에 머문 지 1년 만에 동북면에 돌아가려 하자, 그 곳의 토착 기반을 이용해 공민왕을 배반할 우려가 있다며 조정의 신하들이 반대하였다. 그러나 공민왕은 그가 아니면 동북면을 안정시킬 수 없다고 판단해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해 다시 영흥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그가 동북면에 이르러 4월에 병사함으로써 조정 신하들의 염려는 기우로 끝났다. 그가 죽은 뒤 그의 아들 이성계는 통의대부 금오위상장군 동북면상만호(通議大夫金吾衛上將軍東北面上萬戶)가 되어 약관으로 정3품의 중앙무관직과 선조의 기반인 상만호의 두 가지 직책을 맡게 되었다. 이는 이성계가 동북면의 토착기반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조선왕조 건국의 세력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능은 정릉(定陵)으로, 함흥 동쪽 귀주동(歸州洞)에 있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쌍성총관부 (3) 백과 조선 (3) 백과 1356년 (2) 백과 공민왕 (2) 백과 공양왕 (2) 백과 권겸 (2) 백과 기철 (2) 백과 노책 (2) 백과 반원정치 (2) 백과 부원세력 (2) 백과 (2) 백과 조선 정종 (2) 백과 조선 태조 (2) 백과 최영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표현 기법에 따른 조소의 한 가지.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부 : 도조(度祖) 이춘(李椿)
자 : 이성계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