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권준(權準)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권준 (權準)
[1281 ~ 1352] 고려 후기에, 밀직부사, 지밀직사사, 첨의찬성사 등을 역임한 문신.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권준 (權準) 1281 1356 반원정치 성리학 (性理學) 부원세력 1352년 1354년 1356년 1321년 1301년 1308년 1306 권겸 (權謙) 1287 이제현 (李齊賢) 1262 권부 (權溥) 1228 권단 (權㫜) 14c초 기철 (奇轍) 1352 권근 (權近) 1351 공민왕 (恭愍王) 1338 북원 소종 1328 이색 (李穡) 1306 노책 (盧頙) 1265 최성지 (崔誠之) 1254 조맹부 (趙孟頫) 1247 백이정 (白頤正) 1244 이진 (李瑱) 1238 요수 (姚燧) 1211 유경 (柳璥) 1314 만권당 (萬卷堂) 효행록 (孝行錄) 1342 역옹패설 (櫟翁稗說) 익재난고 (益齋亂藁)
▣ 백과사전
[1281 ~ 1352] 고려 후기에, 밀직부사, 지밀직사사, 첨의찬성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평중(平仲), 호는 송재(松齋). 할아버지는 찬성사 권단(權㫜)이고 아버지는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과거에 급제하여 충선왕을 중국 연경에서 만나 대언(代言)에 발탁되고, 원나라 왕에게 아뢰어 무위장군합포만호(武衛將軍合浦萬戶)에 임명되었다.
 
1310년(충선왕 2) 밀직부사(密直副使), 1313년에는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에 올랐다. 조적(曺頔) 등이 충숙왕을 모함하여 심양왕(瀋陽王) 왕고(王暠)에게 왕위를 넘기도록 책동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심왕에게 붙었으나 의리를 지켜 변하지 않았다.
 
변이 평정되자 첨의찬성사에 임명되고, 또 조적이 패하자 충혜왕은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으로 봉하고 부(府)를 열어 요속(僚屬)을 두었다. 충목왕이 돌아가자 기로대신(耆老大臣)들과 원나라에 글을 올려 공민왕을 세울 것을 청하기도 하였다.
 
권씨는 할아버지 권단 이래 명문가가 되었고 외손녀가 충혜왕 때 화비(和妃)로 책봉되니 권세와 부귀를 크게 누렸다. 임금으로부터 제택(第宅)과 금잔(金盞)이 하사되기도 하였으며 가속들이 죄를 지어도 순군(巡軍)이 감히 처벌하지 못할 정도였다.
 
특히, 충숙왕이 그의 집으로 거처를 옮겼을 때 국왕으로서도 미치지 못하겠다고 한탄한 것은 그 저택의 호화로움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도를 믿고 뇌물을 받아 청렴하지 못하다는 비난을 들었다. 아버지 권보의 지시로 이제현과 함께 『효행록』을 지었다. 아들로 권염(權廉)과 권적(權適)이 있다. 시호는 창화(昌和)이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권겸 (3) 백과 권근 (2) 백과 권단 (2) 백과 권부 (2) 백과 이제현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1547 ~ 1611] 조선 중기의 인물. 자는 언경(彦卿), 호는 원당(元堂),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형제 : 권준, 권겸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