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엄(利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엄 (利嚴)
[870 ~ 936] 신라 말 고려 초 구산선문의 하나인 수미산문을 세운 선승이다. 중국에서 유학하면서 운거 도응의 법맥을 이었고, 귀국 후에 경상남도 김해 지역의 호족인 소율희의 후원을 받았다. 이후 고려 태조의 귀의를 받아 황해남도 해주에 수미산문을 열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이엄 (利嚴) 870 932 수미산문 승려 (僧侶) 5교 9산 구산 선문 불교 (佛敎) 선종 (禪宗) (寺) 해주시 (海州市) 해주 수미산 (須彌山) 932년 918 고려 태조 (太祖) 932 광조사 (廣照寺) (미정의) 경유(인물) (미정의) 마조도일 (미정의) 소율희 (미정의) 여엄 (미정의) 운주 (미정의) 형미 (미정의) 혜(인물)
▣ 백과사전
[870 ~ 936] 신라 말 고려 초 구산선문의 하나인 수미산문(須彌山門)을 세운 선승이다.
 

개설

 
이엄은 법명이며, 시호는 진철(眞澈), 탑호는 보월승공(寶月乘空)이다. 경문왕 10년(870)에 태어났다. 그의 선조는 본래 신라의 왕족이었으나 신라 하대에 왕위 계승전을 겪으면서 웅천(熊川) 지역으로 퇴거하였던 낙향 호족이다. 아버지 김장(金章)은 부성(富城, 현 서산)과 소태(蘇泰, 현 태안) 지역에 은거하였다.
 
이엄은 881년(헌강왕 7) 12세의 나이에 가야갑사(迦耶岬寺) 덕양(德良)의 문하로 출가하였고, 그곳에서 교학을 수학하였다. 886년(정강왕 원년)에 도견율사(道堅律師)에게 구족계를 받았으며, 이후 계율을 엄격하게 지켰다. 896년(진성여왕 10)에 중국으로 유학을 가 운거 도응(道膺)의 문하에서 수행을 하고 인가를 받았다. 그후 여러 곳으로 선지식을 찾아다니다가 911년(효공왕 15)에 신라로 돌아왔다. 그는 여러 곳을 다니다가 경상남도 김해 · 창원 지역의 호족인 소율희(蘇律熙)의 귀의를 받아 승광산(勝光山)에 머물렀다. 922년(태조 5)에는 충청북도 영동군 남쪽의 영각산(靈覺山)으로 자리를 옮겼다. 다음해에 고려 태조가 그를 개경의 사나내원(舍那內院)에 초청하였다. 932년(태조 15)에 태조가 건립한 황해남도 해주(海州) 수미산 광조사(廣照寺)에 머물렀고, 936년(태조 19)에 입적하였다.
 
이엄이 개창한 수미산문은 고려 태조의 적극적인 후원과 함께 해주 지역의 대호족인 황보씨(皇甫氏) 세력 등으로부터 후원을 받았다.
 
이엄의 선사상은 그가 직접 가르침을 받고 법맥을 계승한 운거 도응의 선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운거 도응은 석두 희천(石頭希遷), 약산 유엄(藥山惟儼), 운암 담성(雲巖曇晟), 동산 양개(洞山良价)로 이어지는 법맥을 계승한 승려이다. 처음 이엄은 취미 무학(翠微無學)에게 3년 동안 가르침을 받았는데, 취미 무학은 석두 희천, 단하 천연(丹霞天然)의 법맥을 이은 선승이었기에 동산 양개와 마찬가지로 석두계의 선을 공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500명이 넘는 운거 도응의 제자 중 도응의 법맥을 이었다고 이름을 남긴 사람은 31명에 불과하다. 그들 중 이엄, 형미(逈微), 여엄(麗嚴), 경유(慶猷), 운주(雲住), 혜(慧) 등 신라와 고려의 선승이 6명이나 된다. 이 가운데 이엄은 수미산문을 세웠고, 여엄, 형미, 경유와 함께 사무외사(四無畏士)로 불렸다.
 
수미산문의 선승들이 석두계 선을 수용했다는 점은 신라 말 이후에 선의 사상적 흐름이 변화한 것을 보여준다. 당대 선을 대표하는 마조도일(馬祖道一)은 '마음이 곧 부처(卽心是佛)'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수행에 의해 미혹한 마음을 부처의 마음으로 전환할 것이 아니라 '일상의 있는 그대로의 마음이 도(平常心是道)'이며, '일상의 모든 행위가 불성이 드러난 것(作用卽性)'이라 보았다. 이와 같이 수행이 필요 없고, 있는 그대로의 일상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사고는 그것에 수반하는 실천의 형태로서 '현실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대로 이상적 상태로 간주하는 평상무사(平常無事)'의 사상을 도출하게 된다. 그런데 당의 선종계에서 마조선이 표방한 이념이 절대화되거나 교종화되면서 수행을 경시하거나 수행을 부정하는 폐단이 늘어났다. 이로 인해 석두 계통의 선사들은 법성(法性), 불성(佛性) 등의 본래성과 모든 일상의 행위인 현실태(現實態)의 작용을 마음[心]의 아래에 무매개적으로 등치한 마조선을 비판하였다. 석두계는 현실태와는 다른 차원의 본래성을 새롭게 지향한 것이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해주 수미산 (5) 백과 선종 (3) 백과 해주시 (3) 백과 932년 (2) 백과 광조사 (2) 백과 수미산문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불교】(승려)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