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채호가 우리나라 상고사에 관해 저술한 역사서. 1910년대 후반에 저술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1931년 당시 조선일보 사장인
안재홍(安在鴻)의 주선에 의해 《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신채호는 1910년 우리나라를 탈출한 뒤 상해(上海)·북경(北京)·만주 등지를 전전하면서 독립운동과 역사 연구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는 2회 이상 고구려·발해의 유적을 답사하였다.
특히 1914년에는 대종교(大倧敎) 제3대 종사(宗師) 윤세복(尹世復)의 초청으로 서간도(西間島)환인현(桓仁縣)에 가서 1년간 체류하며 고적 답사, 동창학교(東昌學校)에서의 국사교수 및 『조선사(朝鮮史)』 집필에 몰두하였다.
이때 집필한 『조선사』는 동창학교의 교재로 사용되었다. 아마 이것이 뒷날 『조선상고문화사』로 개제(改題)되었거나, 그 내용이 흡수된 것으로 추정이 될 만큼 이 책에는 대종교적인 분위기가 짙게 나타나 있다.
그러다가 1920년대에 들어서 대종교와 인연을 끊고 근대역사학 연구방법을 수용하면서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가 집필되었던 것이다.
내용
『조선상고문화사』는 근대사학에 상당히 접근해 있어서 『
조선상고사』의 집필 연대와 멀리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로 몇 가지를 들 수 있다. 유증(類證)·호증(互證)·추증(追證)·반증(反證)·변증(辨證)의 연구방법론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기본사료 인용 면에서 『
조선상고사』에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인용된 참고서 또한 근대사학자들의 것이 보일 뿐 아니라 이해하고 있는 사회사상도 『조선상고사』의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점이다.
이 문헌은 신채호의 역사연구 단계로 볼 때 『
독사신론(讀史新論)』에서 『
조선상고사』로 이행하는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 그 내용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사신론』에서는 단군·부여·고구려로 계승되는 역사인식체계와 그 역사무대로서 만주를 중요시했지만, 이 책에서는 만주와 한반도는 물론 부여족의 식민지로서 중국 대륙의 일부까지를 우리의 역사로 수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사군(漢四郡)의 반도 외 존재설(半島外存在說)과 전후삼한설(前後三韓說) 등이 새롭게 주장되었다.
둘째, 대종교적 분위기에 젖어든 것을 부인할 수 없지만 고적 답사를 통한 현장 확인, 문헌 수집, 유물 발굴 및 실증적 방법의 적용 등의 노력을 엿볼 수 있으며, 평이한 국한문(國漢文) 문체의 역사서술을 느낄 수 있다.
셋째, 한국의 상고문화에 대한 국수주의적이고 자존적(自尊的)인 인식이 뚜렷하다. 단군왕조를 강조한 것은 대종교의 포교와 관련이 깊겠지만, 그 밖에도 우리의 상고문화가 중국을 능가하는 우수한 문화임을 강조하는 사례들이 기술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상고문화사』는 중국에 대한 문화사대(文化事大)를 극복하고 일제의 식민지 상황을 철폐하려는 자주적인 역사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책에 서술된 우리나라의 상고문화가 과연 한민족사에 수렴될 수 있는가는 의문으로 남는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