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숙종 때
임준원(林俊元)이 중심이 된 문인들의 모임. 서울의 중인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시사 단체로, 경치 좋은 곳에 모여 대규모의 시회를 열고 함께 시를 짓고 노래하던 모임이었다.
시회의 결성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임진왜란 때
유희경(劉希慶)이 주축이 된 ‘
풍월향도(風月香徒)’와 맥락을 같이하는 위항인(委巷人)들의 시사로서 임준원의 사망시까지 활동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중인들로서 역관·서리 등의 세업에 종사하는 미천한 신분에서 오는 불만과 한탄을 시로 표현하였다. 집단의식을 가지고 동병상련하는 가운데 더욱 공고한 동류의식을 결집하였다.
임준원은 내수사(內需司)에 근무하며 부를 축적하여 이 시회를 주관하였고, 홍세태는 뛰어난 시재로써 모임의 중추적 구실을 하였다. 이 모임에 대해서는 『완암집(浣巖集)』의 「임준원전」에 소개되어 있으며, 홍세태의 「삼청동가」에서 장소가 삼청동 주위의 숲속이었음을 알 수 있다.
낙사라는 명칭은 구자균(具滋均)의 『조선평민문학사』에서 편의상 사용한 것으로 이 모임의 참가자들은 명칭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았으니 아직 구체적인 명칭이 생겨나지 않은 위항인의 시회라고 볼 수 있다.
이 시회는 후대에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위항인시사들의 효시로서 그 존재가치가 크다고 할 것이다.